안녕하세요?
2025.1.29.(수) 을사년 청사(프른 뱀)년 정월 초하루 설날 연휴 잘 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993년부터 2023년까지 지난 30년간 프랑스에서는 7차례 연금 개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대부분 주요 개혁은 우파 정부 집권 시절에 이루어졌습니다. 그리고 미래 연금 고갈 방지책으로 이유여하 막론하고.프랑스 연금 개혁에 손을 덴 정부는 좌우 상관없이 어김없이 차기 정권 재창출에 실패(?)하였습니다. 현직 마크롱 대통령도 집권 1년 차에는 연금 개혁 반대 시위에 밀려서 연금 개혁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가, 종국에는 재선 후 연금 개혁 반대 시위와 파업에도 불구하고,프랑스 마크롱 대통령 정부는 :
'여당이 과반 확보하지 못한 하원에서 법안 통과가 어려워 보이자, 하원 표결을 건너 뛸 수 있는 한법 조항을 이용해 연금 개혁을 성사헸습니다. '( 자료: 파리-연합뉴스)
2023년도에 연금 개혁 주요내용은 법정 나이 제한 연기등 일부 개혁만 하게 되었습니다.
그 당시 심한 연금 개혁 반대 시위에 묻혀서 어물쩍 넘어간 게 있습니다.
" 바로 조기연금 수급 법정 나이를 2030년도까지는 65세로 늦추고, 또한 정상 연금 수급 나이를 67세에서 70세로 더 늦추는 것이었습니다." |
지난 2023년 9월1일부터 시행되는 프랑스 연금 개혁으로 연금 청구 법정 나이를 62세에서 매년 3개월씩 늦추어서 1968년 이후 출생자는 2030년도 64세가 되어야 연금 청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미래 세대 연금 고갈 방지 고육책으로 연금 수령 나이를 점진적으로 늦추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은퇴하고( 현행 60세) 국민 연금 수급나이 될 때까지 생활비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많습니다.
구분
|
국민 연금 수급 나이
|
프랑스 연금 수급나이
|
|
조기 연금 법정나이
|
삭감없이 정상 연금 수령 나이
|
||
1969년 생부터는 ~
|
65세
|
1969년생 부터는 ~64세
|
67세
|
1965년생 부터 1968년 생
까지
|
64세
|
1965년생 63세3개월
1966년생 63세6개월
1967년생 63세9개월
1968년생 64세
|
67세
|
1961년생 부터 1964년생
까지
|
63세
|
1961년 8월31일생까지 62세
1961년 9월1일 부터 1961년 12월31일 생까지 61세3개월
1962년생 62세6개월
1963년생 62세9개월
1964년생 63세
|
67세
|
1957년생 부터 1960년생 까지
|
62세
|
62세
|
67세
|
1953년생 부터 1956년생은
|
61세
|
1953년생은 61세 2개월
1954년생은 61세6개월
1955년생은 61세10개월
1956년생 62세
|
1953년생은 66세2개월
1954년생은 66세7개월
1955년생 이후 67세
|
1952년 이전 출생자
|
60세
|
1950년 생은 60세
1951년생은 60세4개월
1952년생은 60세 8개월
|
1950년생까지는 60세
1951년 6월생까지는 65세
1951년 7월생부터 1951년 12월생까지 65세2개월
1952년생은 65세 9개월
|
프랑스 연금은 한해 연기 할 때 마다 3개월씩 늦추는 방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매년 3개월씩 연기하여 마지막 목표연도에는 최종 연금 수급나이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늦추는 방법이 도입한다면, 은퇴 후 생활비 조달에 어려움 겪는 가구가 다소나마 줄어 들지 않을 까 생각이 듭니다.
끝으로, 혹자는 프랑스 연금 법정 나이 조기 연금 타면 연금 일부 삭감되는데 그냥 정상 연금 탈 때까지 67세까지 기다리겠다는 분도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외국 연금(특히 프랑스 연금)은 일부 삭감된다고 하더라도 탈 수 있을 때 타는 게 낫다.'고 감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다음은 프랑스에서는 오랜 기간 다양한 연금 개혁이 있었습니다. 그중 주요한 연금 개혁에 관한 내용 숙지하시고, 프랑스 연금 신청할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1월29일 (수요일) 설날 아침
서 봉 집사 드림
010-71833538
paniervert777@naver.com
1993년부터 2023년까지 다양한 연금 개혁
최종 수정 일자:2025년 01월 17일
글: 편집진
Les différentes réformes des retraites de 1993 à 2023
• Société
1945년부터 1983년까지, 연금 개혁 목적은 봉급생활자에게 연금 제도 보장 확대하는 것이었습니다. 1991년 백서는 연금 제도의 향후 어려움을 강조함으로써 큰 전환점을 맞이했습니다. 1991년 백서는 1993년부터 2023년까지 실시된 개혁의 길을 열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논의된 개혁은 2023년 4월 14일 자 2023년 사회 보장의 자금 조달에 관한 수정 법률로 이어졌습니다. 또한, 정부와 사회적 파트너 사이에 특히 법적 은퇴 나이를 연기하는 문제에 대해서. 2025년 1월 17일 프랑수아 바이루 총리가 착수한 협의의 출발점이 바로 2023년 연금 개혁입니다.
2025년 1월 14일 국회에서, 공공부채와 2025년 예산, 유럽, 국가 교육, 해외 영토, 연금 개혁, "관료주의를 없애기", 이민, 생태‧환경‧자원의 보호‧개선 관련 정책, 인공 지능 및 노동과 임금에 대한 협의에 관한 프랑수아 바이루 총리의 일반 정책 성명
연설
2025년 1월 15일
2023년 (나이) 제한 개혁
2023년 4월 14일 자 2023년 사회 보장 재정 개정법은 2023년 9월 1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법은 연금 개시 법정 나이를 62세에서 64세로 연기하는 것입니다. 2023년 9월1일부터, (연금 개시) 이 법정 나이는 1961년 9월 1일 출생한 피보험자부터는 매년 3개월씩 늦추어집니다. 연금 개시 나이는 (65년생은) 2027년도 63세 3개월로, (68년생과 그 이후 출생자는) 2030년도에는 64세가 될 것입니다.
동시에, 정상 연금 타기 위한 연금 기여금 납부 기간은 1965년생 세대부터는, 2027년도에는 43년으로 연장됩니다. 2014년 소위 "투렌"법의 적용이 가속화됩니다. 이 법안은 1973년 세대부터 시작하여 현재 42년인 연금 기여 기간을 2035년까지 43년으로 연장하기로 규정되었습니다.
43년간 연금 납부 할 수 없는 사람 경우, (삭감 없이) 정상 연금 탈 수 있는 나이는 67세로 책정(策定)된 대로 유지됩니다.
장기근속 대책이 채택되었습니다. 16세 이전에 일하기 시작한 사람은 58세에 은퇴할 수 있습니다; 16세에서 18세 사이에 일하기 시작한 사람은 60세에, 18세에서 20세 사이에 일하기 시작한 사람은 62서 때 퇴직 할 수 있습니다. 20세에서 21세 때에 일하기 시작한 사람들은 63세에 은퇴할 수 있는 제4차 나이 제한이 추가되었습니다. 또한, 43년간 연금 납부 하한(下限)선도 도입되었습니다.
산업재해나 직업병의 피해자는 최소 20%의 영구적 장애율을 증명하는 경우 60세에 장애를 이유로 은퇴할 수 있습니다. 장애인 근로자는 55세부터 은퇴할 수 있습니다.
적용 법령:
2023년 6월 3일의 법령은 법적 차원에서 연금 권리가 개시되는 나이를 점진적으로 늦추
는 조항을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 법안은 장기 근속자와 장애로 인한 조기 퇴직에 관한 새로운 규정을 명시하고, 현재 장기 근속자로 조기 퇴직이 가능한 피보험자를 위한 보장 조항을 신설하였습니다. 이 법령은 또한 부적격자와 장애가 있는 피보험자가 62세에 연금 수령 개시 나이 조항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이 법안은 마침내 2023년 9월 1일 이전에 연금을 신청하고 해당 날짜에 퇴직이 적용되는 피보험자가 2023년 10월 31일까지 연금 취소 또는 연금 신청을 신청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2023년 9월1일부터 연금 지급 개시 나이가 점진적으로 늦추어집니다.2014년 2014년 뚜렌 개혁
2014년 1월 20일 법률은 전액 연금을 받는 데 필요한 보험 기간을 여러 세대에 걸쳐 연장하는 원칙을 확립했습니다. 이 기간은 2020년부터 2035년까지 3년마다 1분기씩 늘어나 1973년부터 1973년 이후 세대의 경우 172분기(43년)에 이르게 됩니다.
2014년 01월 20일 법은 정상 연금 타기 위해 요구되는 보험 기간 세대 열에
이번 개혁의 상징적인 조치는 개인 중노동계정 신설입니다. 2015년 01월01일부터 도입된 이 계정은 중노동 요인으로 노출된 전문 직업으로 인해 기대수명 감소를 연금 권리 계산할 때 고려 한다는 목적입니다. 개인 중노동계정은 야간 근무 또는 (소음, 무거운 짐 운반 .) 열악한 직업 환경에서 일하는 직원들에게 점진적 은퇴 또는 조기 퇴직을 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그렇지만, 개인 중노동계정은 2017년 09월 22일 노동법 개혁하는 명령으로 수정되었습니다. 2017년 7월1일부터, 예방 전문 계정이 되었습니다. 이 제도는 (간소화되었으며(4대 중노동 요인 제거로), 중노동 기여금은 폐지되었습니다.
불평등을 바로잡기 위한 목적으로, 법은 또한 새로운 권리를 신설하거나 일부 조항을 강화하였습니다:
* 미래의 퇴직자들이 바로 자동으로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퇴직에 반대하는 권리가 제정(制定)되었습니다.
• 분기별 유효성 검사 규칙은 저임금을 받거나 시간제로 근무한 퇴직자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개정됩니다;
• 출산휴가 기간은 전적으로 보험 기간 계산에 포함됩니다. (지그까지는 분만(分娩) 분기만 유효인정되었음);
• 수습 분기(및 조건부, 인턴십)의 유효승인이 허용되며, 교육기간 재매입이 확대됩니다;
• 보험 가입자의 퇴직 정보 제공권이 강화됩니다. 온라인 "개별 퇴직 연금 계좌"(CIR) 가 신설되었습니다(늦어도 2017년 1월 1일까지 운영되었습니다.)
또한, 이 법은 다음과 같은 여타 조치를 포함합니다:
• 이 법은 “ 연금 기여금 납부된”으로 간주하는 등가(等價) 분기 수를 인상함으로써, 장기 근속 경우 60세 때 조기 연금 수령 조건을 확대합니다;
• 이 법은 농업 연금을 개선하고, 장애 근로자와 가족 간병인을 위한 여러 조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이 법은 2017년 7월 1일부로 시행된 제휴 연금기관의 단일 연금 청산 제도 도입으로 여러 연금 수령자의 연금 청산을 간소화하였습니다…. 그 목적은 여러 연금을 타는 연금 수급자의 연금을 한곳에서 계산하고 한 번에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 이 법은 노인연대 수당(구 최저 노령 연금) 금액을 재평가 인상됩니다;
• 이 법은 연금 제도의 운용 관리를 개선하기 위해 연금 모니터링 위원회를 신설(新說)합니다.
게다가, 이 법 시행될 때, 6개월간 연금 동결이 시행되었습니다.
2012년도에 결정된 조정사항
2012년 사회 보장 재정법은 다음과 같이 2010년도에 착수한 연금 개혁 촉진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연금 개시 최소 법정 나이와 정상 연금 자동 수령 나이를 2018년도 아닌, 2017년도부터 각각 62와 67세로 늦추어집니다.
2012년 7월 2일 자 법령은 다음과 같이 2010년도에 도입된 장기근속 조항을 완화합니다:
• 피보험자가 일할 수 있는 나이 제한은 18세에서 20세로 연기됩니다;
• 피보험자가 부담하는 연금 기여금 납부 기간을 고려하여, 실업 수당 수령 2분기와 출산 관련 추가 2분기가 추가됩니다. 기여금을 발생시키거나 그러한 기여금을 발생시킨 것으로 간주하는 분기 수는 연도당 4분기로 제한됩니다. 다만, 60세 이전에 은퇴하는 경우에는 특정 상황에 따라 4~8분기의 할증 기여금 납부 보험 기간이 제공됩니다.
16세 및 17세 이전에 일 시작한 사람들의 보험 기간도 개정됩니다.
2010년 워스 개혁
2010년 11월 9일 자 법은, 피보험자의 권리(연금 개시 법적연령, 정상 연금 청산 나이)와 관련된 조치 외에도, 중노동과 (출산(出産), 실직(失職)…. 과 같은) 경력 단절을 고려하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 주요 요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금 개시 법적 최저 나이를 점진적으로 연장하여 2018년도에는 62세가 됩니다. 이 나이 연장은 공직과 민간 분야와 특수 분야 모든 직원에게 공히 적용됩니다만, 그 시행 일정은 다릅니다;
• 정상 연금 수급에 요구되는 기여금 분기 수를 채우지 못한 피보험자가 삭감 없이 정상 연금 탈 수 있는 나이는 점진적으로 65세에서 67세로 늦추어집니다;
• 정상 연금을 받는 데 필요한 보험 기간이 계속 연장됩니다. 따라서 1956년 세대의 경우, 41.5년 연금 내야 합니다;
• 공무원의 노령 보험료율을 직원의 보험료율과 점진적으로 일치시킵니다.
• "장기근속"을 위한 조기 퇴직 나이의 점진적인 연장(이전에는 60세 이전으로 설정됨) 및 18세 이전에 일을 시작한 피보험자를 위한 (조기) 퇴직할 수 있도록 신설되었습니다;
• 중노동으로 인한 조기 퇴직 제도 도입: 20% 이상, 심지어 10% 이상 영구적인 업무 수행 장애가 있는 근로자는 60세에 퇴직하여 정상 연금 받을 수 있습니다:
• • 경력 초기에 출산휴가(出産休暇)와 무급(無給) 실업 기간을 더욱 잘 고려합니다( 실직자로, 실업 수당을 받지 않는 무급(無給) 실업자들은 4분기가 아닌 최대 6분기까지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 연금 적립금에 할당된 목표의 개정: 2010년의 (연금) 적립금(362억 유로)에서 2011년부터 사회 보장 부채 상각 기금(Cades) 용(用)으로 매년(21억 유료씩) 정액(定額) 공제됩니다.
그리고 또, 2011년도 사회 보장 재정법은 :“연금 기금의 균형회복을 위한 노력의 하나로 모든 피보험자가 참여하는” 신규 수입원을 신설하였습니다: 최고 소득세 소득세율 인상(40% 대신 41%) 및 세금 주식 옵션과 황금 낙하산, 자본 소득에 대한 정액 공제 증가, 주주가 받는 배당금에 대한 세금 부과.
또한, 2011년 사회 보장 재정법은 "모든 피보험자가 은퇴 제도 재조정 노력에 참여하게 하려고" 새로운 수입을 창출합니다. 최고 소득세 소득세율 인상(40% 대신 41%) 및 주식 옵션에 대한 세금과 고급 연금, 자본 소득에 대한 정액 공제 인상, 주주가 받는 배당 세금 부과
2008년 특별 연금 제도 개혁
특별 연금 제도 개혁은 2008년 7월1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이 연금 개혁은 다음 2개 특수 연금 제도 관련된 것입니다:
• 공공 서비스 관리하는 산업적 및 상업적 성격의 공공기관의 연금 제도(프랑스 전기 공사, 프랑스 가스공사, 프랑스 국립 철도회사, 파리교통공사, 프랑스(중앙) 은행, 국립 파리 오페라단, 코미디 프랑세즈);
* 신분상 직업 (선출직 및 국회와 상원 직원, 서기와 공증인 직원).
이 법은 2003년 이후 공무원 연금에서 시행된 규칙을 이러한 연금 제도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금 개혁은 다음 3가지 지침 원칙에 따라 이루어졌습니다: 연금 기여금 납부 기간을 37.5년에서 40년으로 점진적으로 늘리고, 삭감/할증 부과 메커니즘을 도입하고, 연금을 물가 변동에 따라 연금 연동하고, 현직 공무원의 처우(봉급)에 따라 연금 연동하지 않는 것입니다.
2003년 피용 개혁
2014년 01월 01일 자로 시행된 2003년 8월 21일 자 법은, 특수 연금 제도를 제외한, 연금 제도 전체를 개혁했습니다.
그 주요 조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04년부터 2008년 사이에, 공무원 연금 납부 기간을 민간 분야 연금 납부 기간과 점진적으로 일치시킵니다. (37.5년에서 40년으로);
• 2009년부터 모든 사람의 연금 기여 기간을 점진적으로 연장하여 2012년에는 모든 사람의 기여 기간이 41세가 되도록 합니다;
• 민간 분야 직원 경우, (피보험자가 조기 연금 탈 때, 연금 인하하는) 연금(年金) 감액(減額) 제도 완화, 공무원의 연금 감액 제도 확대와 민간 분야 직원과 공무원의 할증 제도 신설( 연금 수급 늦추는 경우 연금 인상);
• 14세에서 16세 사이에 일을 시작하였고, 이 세대가 60세에 퇴직 연금 탈 수 있도록 연금 기여금 냈던 사람들의 장기 경력으로 조기 연금 퇴직 제도 도입;
• 두 가지 새로운 선택적 봉급생활자 저축 제도 신설: 개인 계약인 서민 퇴직 연금 저축 플랜(PERP)과 기업체 단체 계약인 집단 퇴직 연금 저축 플랜(PERCO)입니다.
• 사전-연금 이용 제한;
• 공무원 연금을 물가에 따라 연동하고 더 이상 공무원 지수에 따라 연동하지 않습니다.
• • 공무원을 위한 의무적 보충 점수 기반 연금 제도인, 추가 공무원 연금(RAFP)을 신설합니다.
2008년 국민 노령보험기금(CNAV)이 작성한 개혁 결과는 아주 미미(微微)합니다. 이 개혁은 은퇴를 연기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습니다(55~64세의 고용률은 여전히 낮습니다). 그반면에, 작업을 더 일찍 그만두려는 조치들은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1999년에 연금 준비기금 설립
1999년의 사회 보장 기금법은 연금 준비기금을 조성합니다. 이 기금(基金)은 2020년까지 1,500억 유로의 금융 준비금을 마련하기 위해 자산을 금융 시장에 투자해야 합니다. 이 날짜까지, 모든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해야 합니다. 목표는 이러한 수많은 은퇴로 인한 여파를 완화하고, 장기적으로 일반 연금 제도와 연계 연금 제도의 기여금 납부 변동을 매끄럽게 처리하는 것입니다.
1993년 발이라 뒤를 개혁
1993년 7월 22일 법은 사회 보장 일반 제도(직원)와 세 개의 연계 연금 제도(농업 근로자, 장인(匠人), 산업 및 상인(商人))를 개혁하여 적자를 억제합니다:
• 정상 연금 타는 데 필요한 분기 수는 점진적으로 37.5년에서 40년으로 연장됩니다:
• 연금 계산 기준으로 사용되는 연평균 기준 급여는 더 가장 좋았던 10년이 아닌 가장 좋았던 25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계산됩니다.
• 연금의 연간 재평가는 더 일반적인 급여 변동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고 소비자 물가 지수에 따라 연동으로 이루어집니다.
게다가, 1993년 법은 또한 최저 노령 연금과 일부 미공제 노령 혜택의 자금을 조달하는 노령연대기금(FSV)을 신설했습니다. 이 새로운 기금은 1991년에 도입된 사회 보장 일반 기여금(CSG)의 인상으로 자금이 조달되었습니다.
2008년에 발표된 국립 노령보험 기금(CNAV) 연구에 따르면, 1993년 개혁이 1994년과 2003년 사이의 모든 연금 수령자에게 더 낮은 연금을 지급하는 결과를 초래했음을 보여줍니다. 직원들의 경우, 이는 주로 대체율(퇴직 첫해에 지급된 총 연금과 마지막으로 받은 연봉 사이의 비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1982년부터 2023년까지의 연금 개혁: 연대표
Les réformes des régimes de retraite de 1982 à 2023:chronologie
바로 가기:
https://www.vie-publique.fr/eclairage/19237-les-reformes-des-regimes-de-retraite-de-1982-2023-chronologie
2023년 10월 10일
핵심 단어
MOTS CLÉS
• 건강-사회 보장
Santé - Protection sociale
• 연금
Retraite
• 보충연금
Retraite complémentaire
지금 이 순간에,
• 2025년 사회 보장 제정법안
Projet de loi de financement de la sécurité sociale pour 2025
• 사회 보장- 병원- 의료 진료- 연금- 장애인
2025년 01월 23일
Sécurité sociale - Hôpital - Soin médical - Retraite - Handicapé
• 23 janvier 2025
•
• 2025년 재정법안
Projet de loi de finances pour 2025
• 국가 예산- 공공부채- 세금- 지방 금융
2025년 01월 23일
Budget de l'Etat - Dette publique - Impôt - Finances locales
• 23 janvier 2025
•
• 강간(强奸) 형사적 정의 : 동의라는 개념을 포함해야 합니까?
요약(要約)
2025년 01월 23일
Définition pénale du viol: faut-il intégrer la notion de consentement?
• En bref
• 23 janvier 2025
•
• 기후 변경: 2050년도에 프랑스 물 수요는 무엇입니까?
• 요약
• 2025년 01월 23일
기후 변화: 2050년 프랑스의 물 수요는 어떻게 될까요?
요약
2025년 01월 23일
Changement climatique:quelle demande en eau en France en 2050?
• En bref
• 23 janvier 2025
• 일회용 전자담배 기기 금지 법안
• 담배- 청년[ 공중보건
2025년 01월 23일
• Proposition de loi visant à interdire les dispositifs électroniques de vapotage à usage unique
• Tabac - Jeune - Santé publique
• 23 janvier 2025
번역자 주석:
vapotage 전자 담배
consommation de cigarette électronique.
위키낱말사전
chronologie [kʀɔnɔlɔʒi] 1.여성형 명사 연대학
2.여성형 명사 연대순,연표, 연보(年譜)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chronologie [kʀɔnɔlɔʒi] 듣기
명사 연대학 ; 연표, 연보, 시각표 ; 연대순
불문학회 불한사전
le fonds de solidarité vieillesse (FSV), 노령 연대 기금
• en fonction de l’indice des prix à la consommation 소비자 물가 지수에 따라
lisser 1 [lise] 1.타동사 매끄럽게 하다, 윤기를 내다
2.타동사 [수학] (평균 변화를 구하기 위해) 급격한 파동부분을 제거하다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Réserve légale
법정 준비금
La vie | 2015-11-26
mitigé [mitiʒe] 1.형용사 [옛] 완화된 2.형용사 (열정·윤리 따위가) 이완된, 해이해진 (=relâché) 3.형용사 섞인, 혼합된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mitigé [mitiʒe] 1.형용사 완화된, 경감된 (=adouci, atténué) 2.형용사 구어 (이) 섞인 (=mélé, mélangé) 불문학회 불한사전
CNAV: la Caisse nationale d’assurance vieillesse (CNAV) 국립 노령보험 기금
RAFP:la retraite additionnelle de la fonction publique (RAFP) 공무원 추가연금
le paiement d'une dette plus les intérêts et l'indexation
부채와 이자 및 연계 차액 지불
K-Dictionaries 프랑스어-한국어 코퍼스 예문
indexation [ɛ̃dεksɑsjɔ̃]
1.여성형 명사 (임금·이자 따위의) 물가 연동제, 지수화 방식(에 의한 가치 수정),슬라이드제 2.여성형 명사 색인 정리, 분류 (=classement)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traitement [tʀεtmɑ̃] 1.남성형 명사 대우, 대접 2.남성형 명사 치료, 처치, 간호,[옛] 양육 3.남성형 명사 (공무원의) 봉급, 급여 (=rémunération, salaire)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traitement [tʀεtmɑ̃] 1.명사 대우, 대접, 취급 2.명사 의학 치료, 처치 (=cure, remède) 3.명사 (공무원의) 봉급 (=rénumération) 불문학회 불한사전
travailleur à statut → travailleur
정규직 근로자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Ils sont travailleurs à statut. → travailleur
그들은 정규직 근로자들이다.
불문학회 불한사전
S.N.C.F.
[약] Société nationale des chemins de fer français 프랑스 국유 철도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S.N.C.F. 〖약자〗 Société nationale des chemins de fer français
명사 프랑스 국유 철도회사
불문학회 불한사전
E.D.F. [ədeεf]
[약] Electricité de France 프랑스 전력공사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R.A.T.P.
[약] Régie autonome des transports parisiens 파리 교통 공사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Comédie-Française
[건축물] 코메디 프랑세즈 (극장)
위키피디아
laComédie-Française [lakɔmedifʀɑ̃sεːz]
여성형 명사 코메디 프랑세즈 (프랑스 국립 극장 및 극단)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Bibliothèque de la Comédie-Française
고유명사 코메디 프랑세즈 도서관 소장도시: 파리(Paris) 소장국가: 프랑스(France)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rééquilibrage [ʀeekilibʀaːʒ]
남성형 명사 균형의 회복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rééquilibrage de la balance commerciale → rééquilibrage
무역수지의 균형회복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en outre
게다가
ptg | 2016-11-08
en outre
게다가, 그리고 또.
불문학회 불한사전
en outre de
이외에도, 에 더해서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Réserves
【상법】준비금, 적립금
frg | 2015-11-18
la Caisse d’amortissement de la dette sociale (Cades) 사회보장 부채 상각 기금
des mesures liées aux droits des assurés 피보험자 연금 권리 관련 조치
âge légal de départ 연금 개시 법적 연령,
âge de liquidation à taux plein 정상 연금 청산 나이
la pénibilité 중노동
des interruptions de carrière (maternité, chômage...). 경력 단절( 출산(出産), 실직(失職)...)
La création du fonds de réserve pour les retraites en 1999 1999년도 연금 준비기금 신설
Les aménagements décidés en 2012 :2012년 결정된 조정사항
pilotage 2 [pilɔtaːʒ] 1.남성형 명사 물길 안내, 도선(導船), (=lamanage) 2.남성형 명사 (비행기) 조종(술) 3.남성형 명사 (1956) (국가·기업 따위의) 경영, 운영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 crée un comité de suivi des retraites 연금 모니터링 위원회를 신설하다.
ASPA:l’allocation de solidarité aux personnes âgées 노인 연대수당
• en mettant en place la liquidation unique des régimes alignés(LURA), entrée en vigueur le 1erjuillet 2017 2017년 7월1일 부로 시행된 제휴 연금기관 단일 연금 청산제도 도입으로
• des travailleurs handicapés 장애 노동자 장애 근로자
• des aidants familiaux;가족 간병인
• Un "compte individuel retraite" (CIR) en ligne 온라인 : 개인 연금 계정“ (CIR)
• le trimestre de l’accouchement 분만(分娩) 분기
• des retraités ayant touché des bas salaires ou exercé à temps partiel; 저임금 수령 또는 시간제 근무한 퇴직 연금수급자
une hausse de la tranche la plus élevée de l’impôt sur le revenu
des taxes sur les stock-options스통 옵션 세금
les retraites-chapeaux 고급 연금, relèvement des prélèvements forfaitaires sur les revenus du capital 자본 소득에 정액 공제 인상
des taxes sur les dividendes perçus par les actionnaires. 부부가 수령한 배당금에 세금 부과
La réforme des régimes spéciaux de 2008 2008년 특수 연금 제도 개혁
instituer de nouveaux règlements de circulation → instituer
새로운 교통법규를 제정하다. 불문학회 불한사전
instituer [ɛ̃stitɥe] 1. 타동사 세우다, 설립하다, 창설[창시]하다,제정하다 2. 타동사 [종교] 임명하다, 서임하다 3. 대명동사 설립되다, 창설되다, 제정되다 4. 대명동사 스스로 이 되다, 자임하다.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instituer [ɛ̃stitɥe] 1.타동사 (단체·기구를) 세우다, 설립하다, 창설하다, 창립하다(fonder) ; (법률·규칙 따위를) 제정{설정, 확립}하다(établir) 2.타동사 (조사 등을) 실시하다 3.대명동사 정해지다, 제정되다 ; 확립되다 4.대명동사 스스로 이 되다, 자임(自任)하다 불문학회 불한사전
instaurer [ɛ̃stɔ[o]ʀe] 1.타동사 창시하다, 창설하다 2.대명동사 창시되다, 창출되다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instaurer [ɛ̃stɔoʀe]
타동사 창설{창립·창시}하다(fonder), 설립하다, 수립하다 불문학회 불한사전
pénibilité [penibilite]
여성형 명사 [경제] (노동 따위의) 고통도(苦痛度), 난도(難度)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emblématique [ɑ̃blematik]
형용사 상징적인, (을) 상징하는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emblématique [ɑ̃blematik]
형용사 상징적인, 을 상징하는 불문학회 불한사전
matérialiser un projet → matérialiser
계획을 구체화시키다.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relèvement [ʀəlεvmɑ̃] 1.남성형 명사 (다시 일으켜) 세우기,(위로) 올리기 2.남성형 명사 [비유] (경제 따위의) 재건, 부흥 (=redressement) 3.남성형 명사 높이기,(가격 따위의) 인상,(수위 따위의) 상승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système de relèvement automatique des salaires → automatique
(생계비 지수 상승에 따르는) 자동 봉급 인상 체계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plancher des cotisations → plancher 1
갹출금의 하한선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plancher 1 [plɑ̃ʃe] 1.남성형 명사 (건물의) 바닥,마루,(자동차의) 바닥2.남성형 명사 하한(下限),최저 3.남성형 명사 [해부] 기저(基底)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borne [bɔʀn] 1.여성형 명사 (밭·소유지의) 경계석[표지] (=limite) 2.여성형 명사 (한계·지표 역할을 하는) 돌, 시멘트 턱,표지 3.여성형 명사 [구어] 킬로미터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borne [bɔʀn] 1.명사 표석, 경계석, 경계표 ; 표지 ; (pl.) 국경 차량 통과 차단표{석(石)} 2. 명사 (pl.) ((비유적)) 한계, 한도 ; 끝 ; 제한 3. 명사 전극 , 단자 불문학회 불한사전
dispositif [dispozitif] 1.남성형 명사 장치 2.남성형 명사 대책, 조처 3.남성형 명사 [군사] 배치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dispositif [dispozitif] 1.장치. 2.군사 배치 , 부서. 3.법률 (법령·조약 따위의) 본문 , 판결 주문(主文). 불문학회 불한사전
décote [dekɔt] 1. 여성형 명사 [재정] (세금의) 감면, 공제 2. 여성형 명사 (1969) [경제] (화폐·주식 따위의) 시세 하락 3.여성형 명사 [비유] (정당·정치인 따위의) 인기[신용]의 하락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instituer qn (son) héritier → instituer
…을 상속인으로 지정하다.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instituer une fête → instituer
축제를 제정하다.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instituer un règlement → instituer
규칙을 제정하다.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instituer un ordre → instituer
질서를 확립하다.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une retraite à taux plein 정상연금.
limites de l'intelligence artificielle
인공 지능의 한계
K-Dictionaries 프랑스어-한국어 코퍼스 예문
les limites de l'intelligence artificielle
인공 지능의 한계
K-Dictionaries 프랑스어-한국어 코퍼스 예문
immigration [i(m)migʀɑsjɔ̃]
여성형 명사 (타국으로부터의) 이주, 이민 (↔émigration)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immigration [i(m)migʀɑsjɔ̃]
명사 (타국으로부터의) 이주 (↔émigration)
불문학회 불한사전
débureaucratisation
발음 [ debyʀokʀatizɑsjɔ̃ ]
n.f. 여성명사
n.f. 여성명사
1. 관료주의를 없애기
Le livre blanc 백서(白書)
le report de l'âge légal de départ à la retraite. 연금 개시 법정 나이 연기
내놓다 [내ː노타] 1.동사 Exprimer, lancer, exposer, proposer, présenter 2.동사 mettre dehors, sortir, faire sortir 3.동사 exposer 국립국어원 한국어-프랑스어 학습사전(KOFR)
lancer [lɑ̃se] 1.타동사 던지다 , (활을) 쏘다 , (폭탄을) 투하하다 , (수뢰·로켓 따위를) 발사하다 , (증기를) 분출하다 2.타동사 (소리를) 내지르다 ; (타격·비난을) 가하다 ; (시선을) 던지다 ; (결정·통첩 따위를) 띄우다, 보내다 3.대명동사 (을 향해) 돌진하다. 4.대명동사 (에) 뛰어들다, 나서다, 투신하다 ; 일을 시작하다 불문학회 불한사전
La datte publique 공공 부채
écologique [ekɔlɔʒik] 1.형용사 생태학의, 생태학적인 2.형용사 자연보호용의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différent[difeʀɑ̃]
1.다른, 상이한 (↔identique, semblable)2.(속사로 쓰여) 변한, 달라 (=changé, modifié)3.(화폐·메달의) 조폐국인, 각인
réforme[ʀefɔʀm]
1.(제도 따위의) 개혁, 개선, 개정(改正)2.(사회 질서 따위의) 점진적 개혁[개선] (↔révolution)3.(Réforme) [기독교] (16세기의) 종교개혁
livre[liːvʀ]
1.책, 서적, 단행본2.인쇄, 출판3.(복수) [비유] 독서, 연구,지식, 박학,이론
marque[maʀk]
1.표, 표시, 표시물,(문맹자가 서명으로 사용하는) 기호2.(죄인에게 찍는) 낙인,도장, 인장 (=cachet)3.상표 (=marque1 de fabrique[commerce, service])
tournant[tuʀnɑ̃]
1.회전하는, 빙글빙글 도는2.우회하는,(포위하기 위해) 배후에서 공격하는3.구불구불한, 굴곡이 있는,나선형의 (=sinueux, en colimaçon)
société[sɔsjete]
1.사회,공동체, 집단 (=communauté)2.모임, 서클,모인 사람들, 회중(會衆)3.사교계,상류사회
retraite[ʀətʀεt]
1.퇴직, 퇴역, 은퇴,은거, 은둔2.퇴직 연금 (=pension de retraite2)3.은거, 은둔
le[lə]
1.(직접목적보어) 그[그녀, 그것]를,그들[그녀들, 그것들]을2.(속사)3.(중성대명사·부정법·절 따위를 대신하는 직접목적보어)4.(비교표현의 후속절에서)
des[de]
1.(셀 수 없는 명사의 양을 표시) 약간의2.(특정한 명사의 일부) 몇몇의, 몇 개의
blanc[blɑ̃]
1.흰, 백색의 (↔noir)2.(상대적으로) 흰, 밝은색의,무색의3.희게, 하얗게4.실효가 없게5.(보통 Blanc) 백인6.[역사] (프랑스 대혁명기 이후의) 왕당파,(러시아 혁명기의) 황제파 (↔Bleu)
livre[liːvʀ]
1.파운드 (무게 단위:500그램, 캐나다에서는 16온스(453그램))2.리브르 (혁명 전의 화폐단위 3리브르는 1에퀴(écu), 24리브르는 1루이(louis)가 됨)3.파운드 (영국·이집트·오스트리아의 화폐단위, [약] £), (=livre2 sterling)
tournant[tuʀnɑ̃]
1.커브(길), 굽이,길 모퉁이 (=virage, coude, angle, coin)2.[비유] 전환점3.(물레방아의) 물레바퀴, 차 바퀴의 회전면,물이 소용돌이치는 장소
mettre[mεtʀ]
1.(어떤 곳에) 놓다, 넣다2.붙이다, 달다,걸다3.몸을 두다4.(어떤 입장에) 서다, 놓이다
livrer[livʀe]
1.인도하다, 배달하다2.맡기다, 지배하에 두다,[법] 넘기다, 양도하다, 팔다3.넘겨지다, 항복하다,자수하다 (=se rendre, se soumettre)4.(비밀 따위를) 고백하다, 토로하다
marque[maʀk]
1.[법] 보복, 복수 (=représailles)
des[de]
1.(셀 수 있는 명사의 불특정 수) 몇몇의, 몇 개의 (→de III, un)2.여러 개의, 많은,대단한3.(이중적 사용) il y a des années et des années 여러 해 전에
marquer[maʀke]
1.(에) 표시를 하다,낙인을 찍다2.[구어] 써넣다, 기입하다, 기록하다3.(기억에 남을 만큼) 강한 인상을 주다, 눈에 띄다4.자국[흔적]이 남다
retraite[ʀətʀεt]
1.[상업] 역환(逆換) 어음
연금[年金][연금]
1.pension, rente
개혁[改革][개ː혁]
1.réforme
사회[司會][사회]
1.direction d'une réunion, présidence d'une cérémonie2.président (d'une réunion), organisateur(trice) (d'une cérémonie), animateur, présentateur(trice), meneur(se)
다양하다[多樣하다][다양하다]
1.divers, varié
제도[制度][제ː도]
1.régime, institution
사회[社會][사회]
1.monde, société, communauté, milieu, colonie2.société
연금[軟禁][연ː금]
1.résidence surveillée
향후[向後][향ː후]
1.futur, avenir, désormais
어려움[어려움]
1.difficulté, complexité
백서[白書][백써]
1.livre blanc
제도[製圖][제ː도]
1.dessin industriel, cartographie
맞이하다[마지하다]
1.accueillir, célébrer2.intégrer quelqu'un dans la famille
전환점[轉換點][전ː환쩜]
1.tournant, point tournant
전환[轉換][전ː환]
1.changement, transition, transformation, conversion
사전
무공해 無公害 [무공해]
명사 (n.) biologique, écologique, non polluant
국립국어원 한국어-프랑스어 학습사전(KOFR)
친환경 親環境 [친환경]
명사 (n.) écologique, biologique, respect de l'environnement
국립국어원 한국어-프랑스어 학습사전(KOFR)
생태적 生態的
명사, 관형사 écologique.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새한불사전
그린
1.명사 친환경적인 vert(e), écologique.
2.명사 vert , couleur verte.
3.명사 [골프] surface gazonnée (de terrain de golf), terrain de golf.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새한불사전
ministre de la Transition écologique et solidaire → ministre
환경부 장관⦅생태‧환경‧자원의 보호‧개선 관련 정책 실행⦆
불문학회 불한사전
allonger [alɔ̃ʒe] 1.타동사 (길이·시간·부피 따위를) 늘이다, 연장하다 (=rallonger, prolonger) 2.타동사 길어 보이게 하다 3. 자동사 길어지다,늦어지다, 지체하다 4. 자동사 걸음걸이가 빨라지다 (=allonger le pas)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Les victimes d'un accident du travailou d'une maladie professionnelle :산업 재해 또는 직업병 피해자
partir en retraite pour incapacité à 60 ans 60세때 장애로 은퇴할 수 있습니다.
justifier d’un taux d’incapacité permanente de minimum 20% 최소 20% 영구 쟁애율 증명하다.
Les travailleurs handicapés 장애 근로자, 장애 노동자
dispositif[dispozitif]
1.장치2.대책, 조처3.[군사] 배치
carrière[ka[ɑ]ʀjεːʀ]
1.[문어] 길, 행로, 활동 무대,[옛] 인생2.직업,경력, 이력,(Carrière) 외교관직 (=profession)3.[옛] (마차) 경주장
long[lɔ̃]
1.긴2.길이가 인3.길이,세로4.많이 (=beaucoup)5.긴 옷을 입고
être[εtʀ]
1.(사람이) 있다, 존재하다,이다2.(사물이) 있다, 존재하다3.(속사는 형용사·수사)
avoir[avwaːʀ]
1.가지다, 소유하다,지니다 (=posséder)2.(상품을) 보유하다,취급하다3.(자격·지위·권한 따위를) 가지다,누리다
partir[paʀtiːʀ]
1.출발하다, 떠나다2.(주어는 사물) 움직이다, 시동하다,(탈것 따위가) 출발하다3.시작하다, 개시하다
adapter[adapte]
1.(물건을 다른 것에) 맞추어 붙이다,맞추다 (=ajuster)2.(추상적 의미) 조화롭게 맞추다3.(에) 적응하다,(자신을) 맞추다4.들어맞다, 꼭 맞다
qui[ki]
1.(주어) 누가2.(속사)3.(직접목적어)
carrière[ka[ɑ]ʀjεːʀ]
1.채석장
commencer[kɔmɑ̃se]
1.시작하다, 착수하다2.(주어는 사물) (의) 처음에 있다3.시작되다
travailler[tʀavaje]
1.일하다,공부하다 (=apprendre, étudier)2.근무하다, (직장에) 다니다3.공부하다,연습하다, 훈련하다4.가공하다, 세공하다 (=façonner, élaborer)5.[travailler à qc/] 하려고 애쓰다,에 열심이다
celui[səlɥi]
1.[celui de+보어/celui+관계대명사]2.[celui+분사/형용사]3.(명사적 용법:불특정한 사람 지시)
être[εtʀ]
1.생물, 존재[실재]물2.[un être de+무관사명사] [문어] 을 구현하는 존재, 의 특징을 갖고 있는 존재3.사람, 인간
qui[ki]
1.(지각동사, voici, voilà, être, se trouver 따위의 구문에서 선행사와 분리되어)2.(주어의 강조)3.(감정적 용법)
pouvoir[puvwaːʀ]
1.힘, 능력, 역량2.권위, 영향력, 지배력 (=autorité, influence)3.(정치적) 권력, 정권,당국,[옛] 정체(政體)
avoir[avwaːʀ]
1.재산, 자산2.[상업] 대변(貸邊)
기다[기다]
1.ramper, marcher à quatre pattes, se traîner2.ramper, aller à pas de tortue3.être docile, être obéissant, se soumettre
경력[經歷][경녁]
1.carrière
장치[裝置][장치]
1.dispositif, appareil, équipement2.dispositif, mécanisme
적합하다[適合하다][저카파다]
1.conforme, approprié, adapté
기는 놈 위에 나는 놈이 있다
1.Au-dessus d'un type qui rampe, il y a un autre qui vole
사람[사ː람]
1.homme, personne, gens, monsieur2.personne, gens3.adulte, grande personne, humain, honnête homme
일[일ː]
1.travail2.affaire, choses3.chose
시작하다[始作하다][시ː자카다]
1.commencer, débuter, ouvrir, démarrer2.commencer, débuter, entreprendre
일[日][일]
1.jour (→연, 월, -일)
사전
le principe de l’allongement au fil des générations de la durée d’assurance 보험 기간을 여러세대에 걸처 연장 하는 원칙
1.측량, 측정, 계량2.크기, 넓이, 치수,몸의 사이즈3.실력, 진가
réforme[ʀefɔʀm]
1.(제도 따위의) 개혁, 개선, 개정(改正)2.(사회 질서 따위의) 점진적 개혁[개선] (↔révolution)3.(Réforme) [기독교] (16세기의) 종교개혁
mesurer[məzyʀe]
1.(길이·면적·부피 따위를) 재다, 측정하다2.(추상적인 것을) 헤아려[따져] 보다,평가하다3.측정되다,평가되다4.도전하다, 힘을 겨루다
emblématique[ɑ̃blematik]
1.상징적인, (을) 상징하는
compte[kɔ̃ːt]
1.셈, 계산 (=dénombrement)2.(대차)계정(計定),수지 계산(서),(복수) 회계 (=comptabilité)3.(은행 따위의) 구좌,예금
création[kʀeɑsjɔ̃]
1.[종교] 창조, 개벽2.창조물,(창조된) 세상, 자연, 우주 (=nature, univers)3.(인간에 의한) 창조, 창작, 발명 (=invention)
partir[paʀtiːʀ]
1.출발하다, 떠나다2.(주어는 사물) 움직이다, 시동하다,(탈것 따위가) 출발하다3.시작하다, 개시하다
personnel[pεʀsɔnεl]
1.사적(私的)인,개인의, 개인적인,일신상의 ([약·구어] perso), (=privé, individuel, particulier)2.이기적인,비협조적인 (=égoïste)3.(집합적) (조직체의) 종업원, 직원, 사원,인사(人事)4.(개인의) 고용인
mesuré[məzyʀe]
1.계측된2.규칙적인,율동적인3.절도있는, 신중한
compter[kɔ̃te]
1.세다, 헤아리다 (=dénombrer)2.셈에 넣다,고려하다, 평가하다 (=comprendre)3.[compter sur qn/qc] 을 믿다,기대하다4.[compter avec[sans] qn/qc] 을 고려에 넣다[넣지 않다]5.헤아리다, 셈하다, 계산하다6.아껴쓰다, 절약하다
viser[vize]
1.겨냥하다, 조준하다2.[비유] 포부를 지니다, 야망을 품다3.을 겨누다, 겨냥하다4.[비유] 목표하다, 노리다,호소하다5.겨누다, 겨냥하다,조준하다6.[비유] 목표하다, 노리다,추구하다 (=ambitionner, désirer)
prendre[pʀɑ̃ːdʀ]
1.잡다, 붙들다, 쥐다,집어[꺼내]들다2.잡다, 붙잡다, 체포하다3.덮치다, 기습하다4.굳어지다, 엉기다5.눌어붙다6.(손에) 잡히다7.잡히다, 포획되다
instaurer[ɛ̃stɔ[o]ʀe]
1.창시하다, 창설하다2.창시되다, 창출되다
calcul[kalkyl]
1.계산,산수2.예상, 예측, 어림짐작3.[경멸] 타산,계략, 술책
être[εtʀ]
1.생물, 존재[실재]물2.[un être de+무관사명사] [문어] 을 구현하는 존재, 의 특징을 갖고 있는 존재3.사람, 인간
partir[paʀtiːʀ]
1.(부정법으로만 쓰임) [옛] 나누다, 분할하다
viser[vize]
1.사증(査證)하다,승인의 압인을 찍다[서명을 하다]
개혁[改革][개ː혁]
1.réforme
개인[個人][개ː인]
1.individu, chacun(e)
조치[措置][조치]
1.mesure, disposition, moyen
처벌[處罰][처ː벌]
1.punition, peine, sanction
만들다[만들다]
1.produire, fabriquer2.publier, sortir3.créer, générer
이[이]
1.dent, dentition, denture, croc, canine, défense2.dent, bord3.Interstice d'un outil, d'une machine, etc., permettant de le (la) joindre à un autre outil, à une autre machine, etc.
이[이]
1.ça, cela (→그, 저)2.ça, cela (→그)3.cette personne, ces gens (→그, 저)
계산[計算][계ː산]
1.calcul, compte2.calcul, estimation, prévision3.paiement, règlement, versement
퇴직금[退職金][퇴ː직끔]
1.indemnité de départ (en retraite), indemnité de licenciement, prime de départ
요인[要因][요인]
1.facteur, cause
불이익[不利益][불리익]
1.désavantage
시행되다[施行되다][시ː행되다]
1.être exécuté, être accompli, être réalisé2.être exécuté, être appliqué, être mis en vigueur
사전
loi[lwa]
1.법, 법률2.법칙3.(복수) 규범, 규칙, 규정,기준
contenir[kɔ̃tniːʀ]
1.포함하다, 내포하다, 함유하다 (=renfermer)2.용적[용량, 면적]이 이다 (=tenir)3.자제하다 (=se maîtriser)4.서로 견제하다
mesure[məzyːʀ]
1.측량, 측정, 계량2.크기, 넓이, 치수,몸의 사이즈3.실력, 진가
objectif[ɔbʒεktif]
1.객관적인, 명백한2.공정한, 중립적인,편견없는 (=détaché, impartial)3.객관적 사실에 기초한,실증적인
également[egalmɑ̃]
1.똑같이, 동등하게, 대등하게2.역시, 마찬가지로 (=de même, aussi)
condition[kɔ̃disjɔ̃]
1.사회적 신분2.높은 신분,귀족계급3.하인의 신분,고용살이
mesurer[məzyʀe]
1.(길이·면적·부피 따위를) 재다, 측정하다2.(추상적인 것을) 헤아려[따져] 보다,평가하다3.측정되다,평가되다4.도전하다, 힘을 겨루다
élargir[elaʀʒiːʀ]
1.(넓이·폭 따위를) 넓히다, 확장하다,넓어보이게 하다 (=agrandir,), (↔amincir, rétrécir)2.풍부하게 하다, 확대하다3.[구어] 어깨가 넓어지다, 체격이 훌륭해지다4.(폭·넓이가) 넓어지다, 확장되다5.풍부해지다, 확대되다
elle[εl]
1.(이미 언급되었거나 언급될 여성 명사를 대신하는 경우)2.(지칭 관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성·수 등 대신하는 대상이 달라질 수 있음)3.(특정한 발화 상황에서 대화 상대자 간의 묵계하에서 지칭 관계가 나타나지 않거나 막연한 경우)
calcul[kalkyl]
1.계산,산수2.예상, 예측, 어림짐작3.[경멸] 타산,계략, 술책
être[εtʀ]
1.(사람이) 있다, 존재하다,이다2.(사물이) 있다, 존재하다3.(속사는 형용사·수사)
permettre[pεʀmεtʀ]
1.[permettre qc]2.[permettre que+sub.]3.자신에게 허용하다,(예의에 어긋난) 행위[말]를 하다4.(실례를 무릅쓰고) 감히 하다, 하기까지 하다
loi[lwa]
1.(화폐의) 금위(金位)
objectif[ɔbʒεktif]
1.[군대] 목표물, 표적 (=cible)2.[비유] 목표, 목적, 의도 (=dessein, visée)3.[광학] 대물 렌즈
être[εtʀ]
1.생물, 존재[실재]물2.[un être de+무관사명사] [문어] 을 구현하는 존재, 의 특징을 갖고 있는 존재3.사람, 인간
unique[ynik]
1.(명사 앞·뒤) 유일한, 단 하나밖에 없는2.(명사 뒤) 공통의, 통일적인, 통합의3.[경제]
calcul[kalkyl]
1.[의학] 결석(結石)
des[de]
1.(셀 수 있는 명사의 불특정 수) 몇몇의, 몇 개의 (→de III, un)2.여러 개의, 많은,대단한3.(이중적 사용) il y a des années et des années 여러 해 전에
versement[vεʀsəmɑ̃]
1.불입, 입금 (=paiement)2.불입금, 입금액
또한[또한]
1.aussi2.par ailleurs, en outre, qui plus est
같다[갇따]
1.identique, pareil, égal, même (↔다르다)2.identique, similaire, semblable, équivalent, analogue, voisin, avoisinant, proche3.Terme indiquant l'appartenance à un genre semblable à celui de quelque chose.
다른[다른]
1.autre, différent
있다[읻따]
1.être2.être, travailler3.être (en train), rester
장기[長技][장끼]
1.spécialité, don
조치[措置][조치]
1.mesure, disposition, moyen
있다[읻따]
1.(↔없다)
장기[長期][장기]
1.long-terme (→단기)
이[이]
1.dent, dentition, denture, croc, canine, défense2.dent, bord3.Interstice d'un outil, d'une machine, etc., permettant de le (la) joindre à un autre outil, à une autre machine, etc.
그녀[그女][그녀]
1.elle, la, lui (→그)
분기[分期][분기]
1.trimestre
간주되다[看做되다][간주되다]
1.être considéré
이[이]
1.ça, cela (→그, 저)2.ça, cela (→그)3.cette personne, ces gens (→그, 저)
수[水][수]
1.mercredi (→수요일)
동화되다[同化되다][동화되다]
1.être assimilé, être identifié, s'assimiler, s'identifier
수[數][수ː]
1.nombre (→마리)2.nombre
organiser [former] un syndicat ouvrier. → 노동조합
노동조합을 조직하다[결성하다]
parler[paʀle]
1.말하다, 이야기하다2.자백하다, 털어놓다3.[parler à] 에게 말하다, 말을 걸다4.[parler de] 에 대해 이야기하다5.(언어를) 말하다6.논하다, 이야기를 하다
chapeau[ʃapo]
1.모자2.(붉은 색의) 추기경 모자,추기경의 자리 (=chapeau de cardinal, chapeau rouge)3.모자 모양의 것
niveau[nivo]
1.정도, 수준2.(기준면에서의) 높이, 고도, 수위(水位),수평, 수평면3.지위, 계급, 계층
garantir[gaʀɑ̃tiːʀ]
1.[법] 보증하다,보장하다2.(상품·품질을) 보증하다3.자기에게 보증[보장]하다,서로 보증[보장]하다4.자신을 보호하다
régime[ʀeʒim]
1.체제, 제도, 정체(政體)2.(법률로 정해진 특정의) 제도, 규정, 법규3.식이요법, 절식, 다이어트
être[εtʀ]
1.(사람이) 있다, 존재하다,이다2.(사물이) 있다, 존재하다3.(속사는 형용사·수사)
avoir[avwaːʀ]
1.가지다, 소유하다,지니다 (=posséder)2.(상품을) 보유하다,취급하다3.(자격·지위·권한 따위를) 가지다,누리다
retraite[ʀətʀεt]
1.퇴직, 퇴역, 은퇴,은거, 은둔2.퇴직 연금 (=pension de retraite2)3.은거, 은둔
global[glɔbal]
1.전체의 (=total)2.전체적인, 총괄적인,포괄적인,전면적인3.méthode globale [교육] 통합 교수법,[경제] 포괄적 집계 방법
retraité[ʀətʀε[e]te]
1.퇴직한, 퇴역한,(퇴직) 연금을 받고 있는2.퇴직자,(퇴직) 연금 수령자
pourquoi[puʀkwa]
1.(직접의문) 왜, 어째서, 무엇 때문에2.(간접의문)3.이유, 원인 (=cause, raison)4.(이유를 묻는) 질문
que[k(ə)]
1.(직접목적보어) 무엇을,어떤 것을 (=lequel)2.(속사)3.(논리적 주어)
parler[paʀle]
1.화법, 말투, 말씨2.(지방·집단의) 특유한 어투,사투리, 방언3.[옛] 말하는 행위[능력]
régime[ʀeʒim]
1.(바나나 따위의) 송이
être[εtʀ]
1.생물, 존재[실재]물2.[un être de+무관사명사] [문어] 을 구현하는 존재, 의 특징을 갖고 있는 존재3.사람, 인간
prestation[pʀεstɑsjɔ̃]
1.[법] 부담금, 할당금2.(서비스·재물 따위의 직업적인) 제공,직업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나 재물 따위3.(사회 보장 따위의) 수당,급부 (=allocation, indemnité)
définir[definiːʀ]
1.정의하다2.명확하게 표현[규정, 규명]하다3.정의되다,명확하게 되다, 정해지다4.스스로를 규정하다
retraite[ʀətʀεt]
1.[상업] 역환(逆換) 어음
que[k(ə)]
1.(의문) 왜, 어째서,어떤 점에서 (=pourquoi, en quoi)2.(감탄사) 얼마나, 정말로 (=comme, combien)3.[구어] (ce와 함께 감탄문을 유도)
모자[母子][모ː자]
1.chapeau (→부녀)
퇴직[退職][퇴ː직]
1.retraite, démission (→취직, 실직)
퇴직금[退職金][퇴ː직끔]
1.indemnité de départ (en retraite), indemnité de licenciement, prime de départ
제도[制度][제ː도]
1.régime, institution
우리[우리]
1.cage
모자[帽子][모자]
1.chapeau (→캡)
이것[이걷]
1.ce, ceci, cela, celui (celle, ceux, celles)-ci, (→그것, 이거, 저것)2.ce, cela (→그것, 이거)3.celui (celle) -là (→그것, 저것)
최고[最高][최ː고]
1.niveau le plus élevé2.la meilleure chose (↔최저)
우리[우리]
1.nous, (pro.) notre (problème), nos2.nous, (pro.) notre, nos
이유[理由][이ː유]
1.raison, cause (→귀결)2.excuse
제도[製圖][제ː도]
1.dessin industriel, cartographie
말하다[말ː하다]
1.parler, dire2.dire, demander3.(Phénomène) Exposer un fait.
확정[確定][확쩡]
1.décision finale, détermination, confirmation (↔미확정)
급여[給與][그벼]
1.salaire
• un contrat individuel, le Plan d’épargne retraite populaire (PERP),
• 개인 계약인, 서민 퇴직 연금 저축 플앤(PERP)
• un contrat collectif d’entreprise, le Plan d’épargne pour la retraite collectif (PERCO); 기업체 단체계약, 단체 최직연금 저축 플랜 (PERCO)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새한불사전
높은 고급 연금이란? 추가 연금은 일반적으로 고위 임원인 수혜자에게 추가 연금의 형태로 전반적인 은퇴 수준을 보장하며, 수혜 금액은 사전에 알려져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확정 급여" 제도이라고 말하는 이유입니다.2024. 1. 16.
Qu'est-ce qu'une retraite chapeau ? La retraite chapeau garantit un niveau global de retraite à ses bénéficiaires, en général les cadres dirigeants, sous la forme d'une retraite supplémentaire dont le montant de la prestation est connu à l'avance. C'est pourquoi on parle de régime « à prestations définies ».2024. 1. 16.
주: une retraite chapeau – a top-hat pem=nsion- une pension de haut de gamme 높은 연금, 고급 연금
mitiger [mitiʒe] 1.타동사 (규칙·형벌 따위를) 완화시키다, 경감시키다 (=adoucir, tempérer) 2.대명동사 완화되다, 경감되다.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미지근하다 [미지근하다] 1.형용사 mitigé 2.형용사 tiède 국립국어원 한국어-프랑스어 학습사전(KOFR)
시원섭섭하다 [시원섭써파다]
형용사 doux-amer, mitigé
국립국어원 한국어-프랑스어 학습사전(KOFR)
중간적 1 中間的 [중간적]
명사 (n.) milieu, moyen, central, intermédiaire, mitigé
국립국어원 한국어-프랑스어 학습사전(KOFR)
중간적 2 中間的 [중간적]
관형사 mitigé, intermédiaire
국립국어원 한국어-프랑스어 학습사전(KOFR)
미온적 2 微溫的 [미온적]
관형사 (adj.) tiède, nonchalant, mitigé
국립국어원 한국어-프랑스어 학습사전(KOFR)
[mitigé (de qc)] sentiments mitigés → mitigé
복잡한 감정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zèle mitigé → mitigé
식어 버린 열정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Il manifeste un zèle mitigé dans ce travail. → 미지근하다
이번 일에 대한 그 남자의 태도가 미지근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새한불사전
Son nouveau film a reçu un accueil mitigé. → mitigé
그의 새 영화는 미적지근한 반응을 받았다.
불문학회 불한사전
zèle mitigé → mitigé
식어버린 열의
불문학회 불한사전
réforme[ʀefɔʀm]
1.(제도 따위의) 개혁, 개선, 개정(改正)2.(사회 질서 따위의) 점진적 개혁[개선] (↔révolution)3.(Réforme) [기독교] (16세기의) 종교개혁
régime[ʀeʒim]
1.체제, 제도, 정체(政體)2.(법률로 정해진 특정의) 제도, 규정, 법규3.식이요법, 절식, 다이어트
des[de]
1.(셀 수 없는 명사의 양을 표시) 약간의2.(특정한 명사의 일부) 몇몇의, 몇 개의
spécial[spesjal]
1.특수한, 전문적인2.특유의, 특유한3.수학 특별반 (=mathématiques spéciales)
régime[ʀeʒim]
1.(바나나 따위의) 송이
le[lə]
1.(직접목적보어) 그[그녀, 그것]를,그들[그녀들, 그것들]을2.(속사)3.(중성대명사·부정법·절 따위를 대신하는 직접목적보어)4.(비교표현의 후속절에서)
dès[dε]
1.(시간) 부터(바로, 곧, 이미), 하자마자2.(장소) 에서부터3.(서열·순서) 부터
vigueur[vigœːʀ]
1.원기, 기운,(남성의) 정력 (=énergie, force, virilité)2.생명력,활력, 생기3.격렬함, 강력함, 단호함 (=fermeté)
entrer[ɑ̃tʀe]
1.(장소에) 들어가다, 들어 오다 (↔sortir)2.(주어는 사물) 들어가다, 들어오다3.넣다, 들이다4.끼워[찔러] 넣다 (=enfoncer)
deux[dø]
1.둘의2.몇몇의3.(숫자로서의) 24.(날짜·번지·치수·성적·카드 따위의) 25.2호실, 2번 테이블, TV의 제2채널
concerner[kɔ̃sεʀne]
1.(주어는 사물) 에 관계되다, 관련되다 (=intéresser, toucher)
type[tip]
1.형, 유형, 타입2.전형, 표본, 견본3.(제품 따위의) 형, 형식, 모델
elle[εl]
1.(이미 언급되었거나 언급될 여성 명사를 대신하는 경우)2.(지칭 관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성·수 등 대신하는 대상이 달라질 수 있음)3.(특정한 발화 상황에서 대화 상대자 간의 묵계하에서 지칭 관계가 나타나지 않거나 막연한 경우)
public[pyblik]
1.공공의, 공중의 (↔privé)2.공무[관공]의, 공적인,(특히) 국무(國務)의, 국가행정의3.공중, 일반인들,국민4.(집합적) 독자, 관객, 청중
des[de]
1.(셀 수 있는 명사의 불특정 수) 몇몇의, 몇 개의 (→de III, un)2.여러 개의, 많은,대단한3.(이중적 사용) il y a des années et des années 여러 해 전에
제도[制度][제ː도]
1.régime, institution
개혁[改革][개ː혁]
1.réforme
유형[有形][유ː형]
1.forme, (n.) tangible, concret (↔무형)
제도[製圖][제ː도]
1.dessin industriel, cartographie
시행되다[施行되다][시ː행되다]
1.être exécuté, être accompli, être réalisé2.être exécuté, être appliqué, être mis en vigueur
시행(이) 되다[施行-]
1.entrer en vigueur, être appliqué(e).
유형[類型][유ː형]
1.type, catégorie, classe (→타입)
다이어트[diet]
1.régime (diététique)
관하다[關하다][관하다]
1.concerner
것[걷]
1.(→거)2.Nom non autonome permettant de finir une phrase par un ordre ou une direction.
관하다[關-]
1.concerner.
사전
출처 http://www.service-public.fr
번 역: 서 봉paniervert777@naver.com
주의-알림
이 글의 저작권은 프랑스 국무 총리실 법무 행정 정보국에 있습니다. 저작권자의 사전 서면 동의를 받지 않은, 무단 복제, 전제를 금지합니다.
보다 자세한 것은 http://www.serviec-public.fr 참조 바랍니다.
Attention Rappel- : Le droit d'auteur de cet article appartient à la Direction de l'information légale et administrative (Premier ministre) au bureau du premier ministre en France. La reproduction non autorisée, l'insertion en entier ou en partie sans autorisation écrite préalable du détenteur des droits d'auteur sont formellement interdits.Pour plus d'informations, adressez-vous sur http://www.service-pubic.fr Merci
'프랑스 알기( 연금·상속·사회 보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 계좌 정보 업데이트 (1) | 2025.02.11 |
---|---|
그거 아세요? ‘누구나 실수할 권리가 있다. ‘라는 www.oups.gouv.f 오류 신고 정정 사이트 아시나요? (0) | 2025.02.10 |
(www.lassuranceretraite.fr 연금 보험 사이트) 나의 개인 계정 보안 강화(保安 强化) (5) | 2024.12.27 |
2025년도 연금 인상 (3) | 2024.12.27 |
(알려드립니다) 프랑스 중서부 지방 연금보험공단(CARSAT Centre Ouest) 주소 변경 확인되었습니다. (2) | 2024.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