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알기( 세금·제 세금)

2025년도 세금: 2025년 6월5일까지:2024년도 소득 신고할 때 모든 날짜!

갑조(甲朝) 2025. 4. 13. 09:23
728x90

2025년도 세금: 202565일까지:2024년도 소득 신고할 때 모든 날짜!

Impôts 2025

Jusqu'au 5 juin 2025

Déclaration des revenus de2024: toutes les dates!

20250410알 게재- 법률 행정정보국(총리)

 

2024년도 소득신고 캠페인은 410일부터 시작됩니다.

 

온라인 소득신고 마감 날짜는 거주지 도청별로 달라집니다. 그렇다면 소득신고는 어떻게 합

 

니까? 언제까지 신고해야 합니까? www.service-public.fr 에서는 소득신고에 따른 모든 정보

 

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2025) 410일부터, 세금 사이트 서비스에 로그인하여 2024년도 받은 소득신고 할

 

수 있습니다.

 

서면 소득신고 마감 날짜는 거주지 상관없이(여기에는 외국 거주하는 프랑스인도 포함)

 

202505202359분까지입니. 이 날짜 우체국 소인이 찍혀 있으면 유효합니다.

 

 

온라인으로 소득신고 하는 경우, 추가 기간을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소득

 

신고) 마감 날짜는 귀하가 거주하는 도청에 따라 다릅니다. ( 사전-인쇄된 신고서에 적혀 있는 주소의 도청):

 

20255222359분까: 01에서 19까지 도청, 과 프랑스에 거주하지 않는 사람;

200505282359분까:20부터 54까지 도청;

참고 바랍니.

도청별 소득신고 마감 날짜를 확인하려면, www.service-p[ublic.fr

서 제공하는 시뮬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공되는 링크를 다운

로드함으로써, 귀하 아젠다(아웃트룩, 구글 아젠다…….) 이 날짜를 추가 할 수 있습니다.

누가 소득 신고해야 합니까?

다음 한 가지에 해당하면 귀하는 소득 신고하여야 합니다:

프랑스에 살고 있고, 프랑스에서 주() 활동을 영위하고 있는 경우;

외국에 거주하고 있습니다만, 프랑스에서 발생한 소득이 있습니다;

귀하는 작년에 만 18세가 되었고, 부모 세무가구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바로 가기*:

https://www.service-public.fr/particuliers/vosdroits/F3085

 

그렇다면 소득신고는 어떻게 합니까?

온라인 신고

이미 세무번호, 온라인 접속 번호와 기준 세무서소득을 가지고 있다면, 다음 단계를 밟으면서 www.impots.gouv.fr 통하여 온라인 소득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세무번호와 비밀번호 입력하고, 개인계정에 로그인합니다;

신고할 난을 선택합니다;

제공된 정보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소득 신고서를 수정하고, 보완하기 바랍니다.

세무번호를 모른다면, 개인 세무 부서 창구에 문의하거나,www.impots.gouv.fr 사이트(연락 난. 개인입니다. 귀히 요청은 개인계정 접속 관련 사항입니다> 개인계정 개설하는데 어려움에 관해> 세무번호를 모릅니다)에 올려져 있는 양식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2024년도 소득신고 작성 완료되면, 20259월부터 귀하 소득신고에 적용되는 소득세 원천 징수세율을 알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고서에 서명 한 후, 신고 마감일까지는 원한다면, 수정할 수 있습니다.

귀하는 여름 동안 귀하의 2024년 소득세 신고서에 따라 작성된 (온라인 또는 종이 버전으로) 2025년 세금 고지서를 받게 될 것입니다. 오류가 발견되면 개인계정에서 온라인으로 바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참고사항

처음으로 소득신고하고, 전년도 부모 소득신고에 속해있지 않는 경우, 서면 신고서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서면 신고

다음 상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서면 신고서 제출 허용됩니다.

여러분의 주 거주지는 인터넷 연결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모바일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지역에 거주합니다.

귀하 주 거주지는 인터넷 접속이 잘 되어 있지만, 귀하는 전자 신고 서비스를 제대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귀하는 귀하의 세금 신고서를 귀하가 소속되어 있는 개인 세무 부서에, 기한까지, 귀하의 모든 항목을 포함하는 수정 신고서를 보내 귀하의 세금 신고서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알아둡시다.

곧 소득세 신고서(2025년 기준) 양식을 온라인이나 지역 공공재정센터(개인 세무부서)에서 받으실 수 있게 됩니다. 소득신고서를 작성하고 서명한 후에는 해당 신고서를 소득신고서에 적혀 있는 공공재정센터로 보내야 합니다. 최근에 이사한 때도 마찬가지입니다(소득신고서의 첫 페이지에 새 주소를 기재해야 합니다).

 

자동 신고

귀하가 다음 2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2025년도에는 ( 양식 2042K AUTO) 자동 신고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세무 당국에서 사전 기재한 2024년 소득에 대해서만 세금이 부과됩니다.

그리고, 2024년에도 귀하의 정보는 변경되지 않았습니다(주소, 가족 상황, 소득 및 지출 금액, 감면 또는 세액 공제 대상 지출 등). 하지만 사전에 귀하 개인계정 "원천징수세 관리하다"에서 출생 신고한 경우, 이 정보는 자동 신고에 포함됩니다.

 

 

(소득) 신고서에는 다음과 같은 이미 알려진 정보로 채워집니다: 가족 상황, 소득(급여, 연금, 동산 자본 소득), 공제 가능한 사회보장 일반기여금(CSG), 범용고용서비스(CESU) 또는 사회보장 및 가죽수당 분담금 징수조합(Urssaf)에서 신생아 자녀 돌봄 도우미 고용하는 부모 고용주의 수속 간소화를 지원하는 서비스 오퍼( Pajemploi)를 통해 지급된 재택 고용 비용, 이미 지급된 원천 공제

이는 이러한 요소를 기준으로 계산된 소득세 금액과 20259월부터 적용될 원천징수세율을 나타냅니다.

정보가 정확하고 포괄적이라면, 아무것도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귀하의 신고서는 자동으로 유효화되고 2025년 세금 고지서는 올여름부터 개인계정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사전 작성된 정보가 더는 귀하의 현재 상황에 맞지 않습니까? 새로운 자료는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소득신고서에 신고해야 합니다.

온라인으로;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하거나 온라인 전자 신고 서비스를 제대로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작성 또는 수정된 서면 신고서를 다시 보내시기 바랍니다.

참고사항

만약 귀하가 2024년에 자동 신고를 받을 자격이 있었지만 2025년에 더는 자동 신고 대상이 아니라면, 귀하는 올해 소득세 신고서를 제출해야 한다는 것을 4월 중순에 이메일로 알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또,

소득세: 신고 소득 및 소득신고

www.service-public.fr

Impôt sur le revenu : déclaration et revenus à déclarer

Service-Public.fr

소득세 신고할 때 마감 날짜는 언제입니까?

www.service-public.fr

Quelle est la date limite pour faire sa déclaration de revenus pour les impôts?

Service-Public.fr

소득세 과표는 무엇입니까?

www.service-[ublid.fr

Quel est le barème de l’impôt sur le revenu?

Service-Public.fr

감면, 세금 감액, 세금공제,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www.service-public.fr

Déduction, réduction d’impôt, crédit d’impôt: quelles différences?

Service-Public.fr

2025년 소득세: 귀하가 내야 할 금액을 추산해보시기 바랍니다.

www.service-public.fr

Impôt sur le revenu 2025: obtenez une estimation du montant que vous devrez payer

Service-Public.fr

2025년 세금: 양육비 감면 한도

www.service-public.fr

Impôts 2025: les plafonds de déduction des pensions alimentaires

Service-Public.fr

2025년 소득신고: 2024년 실무 안내 책자

공공 재정 총국

Déclaration des revenus 2025 - Brochure pratique 2024

Direction générale des finances publiques

번역자 주석:

déductible [dedyktibl] 1. 형용사 [재정] 공제할 수 있는 2.형용사 [논리] 연역해 낼 수 있는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millésime [mi(l)lezim] 1. 남성형 명사 (화폐·메달·포도주 따위의) 제조연도 2. 남성형 명사 (연도 표기의) 천자리 숫자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millésimé [mi(l)lezime] 형용사 제조연도가 붙어 있는[새겨진]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Quel est le millésime de ce vin? millésime

이 포도주가 몇 년 산()이죠?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un vin d'un bon millésime

좋은 해에 생산된 포도주

K-Dictionaries 프랑스어-한국어 코퍼스 예문

un vin d'un grand millésime

뛰어난 해에 생산된 포도주

K-Dictionaries 프랑스어-한국어 코퍼스 예문

porto millésimé millésimé

제조년도가 붙어 있는 포트와인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connaître le taux de prélèvement à la source 소득세 원천 징수세율을 알다.

au sujet de qc[qn]

에 관해 (=à propos de)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intégrer qc dans le budget, inscrire (une dépense) au budget. 예산

예산에 넣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새한불사전

intégrer une région à la France intégrer

어떤 지역을 프랑스에 합병하다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intégrer plusieurs théories dans un système 발음듣기 intégrer

몇 개의 이론을 하나의 체계로 통합하다

le cachet de La Poste faisant foi 이 날짜 우체국 소인 찍혀 있으면 유효합니다.

프랑스에 거주하고 프랑스에서 주 활동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vous résidez et avez une activité professionnelle principale en France;

외국에 거주하고 있습니다만, 프랑스에서 발생한 소득원이 있습니다.

vous résidez à l'étranger mais vos revenus sont de source française;

작년에 만18세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부모 세무가구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vous avez eu 18ans l'année dernièreet vous n'êtes pas rattaché au foyer fiscal de vos parents.

cachet[kaʃε]

1.도장, 인장,스탬프,소인 (=sceau, tampon, timbre)2.(도장.소인이 찍힌) 자국,봉인, 봉랍(封蠟),상표, 마크3.[비유] (특이한) 흔적, 특징, 특이성

poste[pɔst]

1.[해양] 정위치

faire[fεːʀ]

1.만들다, 제작하다,짓다, 제조하다,창조하다2.일으키다, 발생시키다,(효과·피해 따위를) 가져오다3.(작물을) 재배하다,수확하다4.하다, 행동하다5.같은 인상을 주다, 같아 보이다6.만들어지다, 이루어지다7.(사람 따위가) 형성되다,(식품 따위가) 숙성되다

poste[pɔst]

1.우편2.우체국,우체통3.[] 역참,역참간의 거리 (8km),역마차

foi[fwa]

1.믿음, 신뢰, 신용2.신념, 신봉3.(흔히 기독교에 대한) 신앙, 신앙심

faire[fεːʀ]

1.(예술가·작가의) 기법, 수법2.하기, 행위

des[de]

1.(셀 수 없는 명사의 양을 표시) 약간의2.(특정한 명사의 일부) 몇몇의, 몇 개의

posté[pɔste]

1.교대 근무의2.교대 근무 노동자 (=travailleur posté)

impôt[ɛ̃po]

1.세금, 조세 (=contribution, taxe)2.의무, 책무

juin[ʒɥɛ̃]

1.6

du[dy]

1.(물질명사 앞)2.(추상명사앞)3.(집합명사 앞)

déclaration[deklaʀɑsjɔ̃]

1.선언, 발표, 성명2.진술, 언명3.고백, 자백,사랑의 고백 (=déclaration d'amour)

revenu[ʀəvny]

1.소득, 수입,수익2.[금속] 담금질

dès[dε]

1.(시간) 부터(바로, , 이미), 하자마자2.(장소) 에서부터3.(서열·순서) 부터

revenir[ʀəvniːʀ]

1.다시 오다,돌아오다2.[비유] 재론[재검토]하다3.[문어] 돌아오다

des[de]

1.(셀 수 있는 명사의 불특정 수) 몇몇의, 몇 개의 (de III, un)2.여러 개의, 많은,대단한3.(이중적 사용) il y a des années et des années 여러 해 전에

우체국[郵遞局][우체국]

1.poste, bureau de poste

소인[小人][ː]

1.enfant (대인)2.petit, nain3.petit esprit, esprit étroit (대인) (군자)

세금[稅金][ː]

1.impôt, taxe, contributions

소인[消印][소인]

1.Action de poser un cachet comme signe d'annulation , ce cachet.2.(Poste) Action de mettre un cachet sur un timbre, etc. qui est utilisée comme un signe de réception ; ce cachet.

선언[選言]

1.disjonction .

소득[所得][ː]

1.bénéfice, gain, résultat profitable, profit2.revenu, rémunération, rétribution, salaire

모든[ː]

1.tout

선언[宣言][서넌]

1.proclamation, déclaration2.déclaration, proclamation, manifeste3.annonce, déclaration

신고[辛苦]

1.rude [dure] épreuve , peine .

날짜[날짜]

1.date2.date, date limite

마감[마감]

1.finition, finalisation, dernière édition2.date limite, dernier délai

달라지다[달라지다]

1.changer, être changé, être modifié, subir une modification, se transformer, se modifier, varier

신고[申告][신고]

1.déclaration2.rapport

거주지[居住地][거주지]

1.lieu de résidence (주거지)

거주[居住][거주]

1.résidence

날짜

1.date .

connaître[kɔnεtʀ]

1.(얼굴·이름을) 알다2.(사람을) 알다,() 친분[안면]이 있다3.[connaître de] [] 의 재판권을 갖다, 을 심리하다4.자기 자신을 알다5.서로 알다

pas[pɑ]

1.걸음2.발소리,발자국, 발자취3.보폭

pas[pɑ]

1.(ne와 함께) 이 아니다2.[구어] (ne의 생략)3.(부사()와 함께)

numéro[nymeʀo]

1.번호,전화번호,해당 번호의 사람[사물]2.번지,방번호3.(정기간행물의) (),(상품의 크기를 표시하는) 호수

pouvoir[puvwaːʀ]

1., 능력, 역량2.권위, 영향력, 지배력 (=autorité, influence)3.(정치적) 권력, 정권,당국,[] 정체(政體)

connaître[kɔnεtʀ]

1.인식(행위),알고 있기

demander[dəmɑ̃de]

1.요구하다, 요청하다,부탁하다, 의뢰하다2.(사람·일자리 따위를) 찾다, 구하다,(면담 따위를) 신청하다3.[demander après] [구어] 의 안부를 묻다4.구걸하다

vous[vu]

1.(주어) 당신()[], 너희들은[]2.(직접목적보어) 당신(), 너희들을3.당신()(이라는 말), (=vouvoiement,), (tutoiement)

service[sεʀvis]

1.(국가·사회에 대한) 의무2.병역 의무,군복무, 군대 생활 (=service militaire)3.근무, 업무,공익사업, 공공업무 (=fonction)

vôtre[voːtʀ]

1.당신()의 것, 너희들의 것2.(복수) 당신()의 가족[친척, 친구]3.[] 당신()의 것 (재산·노력·의견 따위)4.faire des vôtres 늘 하는 그 바보 같은 짓을 하다

만약[萬若][ː]

1.toute éventualité, cas imprévu, cas échéant

당신[當身][당신]

1.toi, vous (, 자네)2.toi, mon chéri, ma chérie, mon amour3.vous

세금[稅金][ː]

1.impôt, taxe, contributions

모르다[ː르다]

1.ignorer, ne pas savoir, ne pas connaître2.ignorer, n'avoir aucune connaissance, n'avoir aucune compétence, n'avoir aucune expérience, ne rien connaître à, être novice à, être béotien en, ne pas savoir, ne pas être capable de (알다)3.n'avoir aucune expérience de, ignorer tout de, n'avoir aucune idée de

번호[番號][번호]

1.numéro

개인[個人][ː]

1.individu, chacun(e)

창구[窓口][창구]

1.baie2.guichet3.fenêtre

번호[番號][번호]

1.numéro

세무서[稅務署][ː무서]

1.bureau de perception, centre des impôts

세무[稅務]

1.fisc , administration fiscale.

connaître[kɔnεtʀ]

1.(얼굴·이름을) 알다2.(사람을) 알다,() 친분[안면]이 있다3.[connaître de] [] 의 재판권을 갖다, 을 심리하다4.자기 자신을 알다5.서로 알다

déclaration[deklaʀɑsjɔ̃]

1.선언, 발표, 성명2.진술, 언명3.고백, 자백,사랑의 고백 (=déclaration d'amour)

être[εtʀ]

1.(사람이) 있다, 존재하다,이다2.(사물이) 있다, 존재하다3.(속사는 형용사·수사)

sur[syʀ]

1.(수평면 접촉)2.(수직면 접촉)3.(간격)

situation[sitɥɑsjɔ̃]

1.위치, 입지(立地),(), 방위2.(개인의) 입장, 처지,상황, 신분3.지위, ,일자리

information[ɛ̃fɔʀmɑsjɔ̃]

1.정보, 지식,정보조사, 정보수집,(개인의) 견문, 학식 (=[구어] tuyau, enquête, investigation)2.(20세기 초엽) 정보전달, 보도,공보 (=communication)3.뉴스,(흔히 복수) (텔레비전·라디오) 뉴스

famille[famij]

1.가족, 가정, 세대,자식, 자녀2.친족, 친척3.가문, 혈통,명문(名門)

être[εtʀ]

1.생물, 존재[실재]2.[un être de+무관사명사] [문어] 을 구현하는 존재, 의 특징을 갖고 있는 존재3.사람, 인간

des[de]

1.(셀 수 없는 명사의 양을 표시) 약간의2.(특정한 명사의 일부) 몇몇의, 몇 개의

indiquer[ɛ̃dike]

1.가리키다, 표시하다 (=désigner, montrer)2.가르쳐주다, 정보를 주다,추천하다 (=enseigner, recommander)3.지시되다

montant[mɔ̃̃]

1.(위로) 오르는, 상승하는2.(기차가) 올라가는, 상행의3.(사닥다리·골조물 따위의) 지주(支柱), 수직 기둥,(발판·침대 따위의) 다리,(·문의) 설주4.총액, 합계

elle[εl]

1.(이미 언급되었거나 언급될 여성 명사를 대신하는 경우)2.(지칭 관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수 등 대신하는 대상이 달라질 수 있음)3.(특정한 발화 상황에서 대화 상대자 간의 묵계하에서 지칭 관계가 나타나지 않거나 막연한 경우)

base[bɑːz]

1.기초, 기반,(건물 따위의) 토대, 주춧돌,(동상 따위의) 받침돌, 대좌 (=appui, fond, fondation, fondation, socle)2.(사물의) 밑바닥, 기저(基底), (sommet)3.기본, 근본, 기초,근거

revenu[ʀəvny]

1.소득, 수입,수익2.[금속] 담금질

calculer[kalkyle]

1.계산하다,산정하다2.예상[예측]하다 (=estimer)3.계산[예측]되다

sûr[syːʀ]

1.확신하는, 자신하는,믿는2.믿을 만한, 신뢰할 수 있는3.확실한, 틀림없는, 분명한

sur[syːʀ]

1.(과일 따위가) 시큼한

élément[elemɑ̃]

1.(구성체·집합체를 형성하는) 요소, 성분, 재료, 부품2.(판단에 필요한) 정보, 자료3.요인, 조건

des[de]

1.(셀 수 있는 명사의 불특정 수) 몇몇의, 몇 개의 (de III, un)2.여러 개의, 많은,대단한3.(이중적 사용) il y a des années et des années 여러 해 전에

가족[家族][가족]

1.famille

선언[宣言][서넌]

1.proclamation, déclaration2.déclaration, proclamation, manifeste3.annonce, déclaration

상황[狀況][상황]

1.état, condition, situation, circonstances

소득[所得][ː]

1.bénéfice, gain, résultat profitable, profit2.revenu, rémunération, rétribution, salaire

급여[給與][그벼]

1.salaire

이동[移動][이동]

1.mouvement, déplacement, migration, transfert

연금[年金][연금]

1.pension, rente

자본[資本][자본]

1.capital, fonds

따르다[따르다]

1.suivre2.égaler, se comparer, équivaloir3.aimer, s'attacher à quelqu'un

따르다[따르다]

1.verser, remplir, mettre, servir

그것[그걷]

1.ce, ceci, cela, ça, celui-ci, celui-là, celle-ci, celle-là, il, elle, le, la, y, en (그거, 이것, 저것)2.il, elle (그거, 이것)3.ce, ceci, cela, ça, celui, celle, celui-là, celle-là (이것, 저것)

요소[要素][요소]

1.élément constitutif, facteur2.élément

[]

1.dent, dentition, denture, croc, canine, défense2.dent, bord3.Interstice d'un outil, d'une machine, etc., permettant de le (la) joindre à un autre outil, à une autre machine, etc.

금액[金額][그맥]

1.montant

[]

1.ça, cela (, )2.ça, cela ()3.cette personne, ces gens (, )

기초하다[基礎하다][기초하다]

1.se baser sur

계산되다[計算되다][ː산되다]

1.être calculé, être compté2.être payé, être réglé, être versé3.être calculé, être estimé, être évalué, être envisagé

déclarer vos revenus 소득 신고하다.

Déclaration en ligne 온라인 신고

Déclaration papier 서면 신고

le service de télédéclaration. 전자 신고 서비스

Déclaration automatique 자동 신고

“201911일부터 시행된 원천징수세(PAS)는 소득세 징수 방법에 있어서 중요한 변화를 의미합니다. 이 새로운 징수 방법은 납세자가 세금과 관련된 소득을 받는 동시에 세금을 징수하는 것입니다.2022. 6. 2.”


En vigueur depuis le 1er janvier 2019, le prélèvement à la source (PAS) constitue un changement majeur de mode de recouvrement de l'impôt sur le revenu. Ce nouveau mode de recouvrement consiste à prélever l'impôt en même temps que le contribuable perçoit les revenus sur lesquels porte l'impôt.2022. 6.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