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복지 서민(庶民) 주택: 2025년 서민 주택 신청을 초과하면 안 되는 소득 한도는 얼마입니까?
Logement social
Quel est le plafond de ressources à ne pas dépasser pour une demande de HLM en 2025 ?
2025년 01월 10일 게재- 법률 및 행정정보국(총리)
서민(庶民) 임대 주택(HLM)에서 사회 복지 서민 주택을 배정받으려면, 먼저 신청해야 하며, 주택을 공급받을 사람들의 연간 총소득이 최대 금액을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2025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소득 한도는 2024년 12월 23일 법령을 통해 책정되었습니다.
서민 임대 주택(HLM)은 소득이 일정 금액을 초과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배정됩니다. 이 사회 복지 서민 주택의 배정을 위해 책정된 소득 한도는 매년 업데이트됩니다. 이는 가구 구성(주거 시설을 사용하는 사람의 수)과 주택 소재 위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적격 여부를 판단하는 데 고려되는 연간 소득은 n-2 년의 기준 세무 소득입니다.
사례:
귀하는 2025년도에 서민 주택 배정 신청합니다. 2024년 세금고지서에 등재도니, 2023년 도 기준 세무소득이 고려됩니다.
참고: 귀하 현재 소득이 2023년도 소득 대비하여 최소한 10% 이상 감소한 경우, 고려 대상 소득은 2024년 도 소득 또는 사회 복지 서민 주택 신청 지난 12개월 소득입니다. 그러면, 소득이 줄어들었음을 증명하는 문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
다양한 종류의 사회주택
다양한 종류의 사회주택은 건물 건설을 위해 기관에 지원된 융자와 보조금에 따라 결정됩니다. 그리고 주택 구매 자격을 얻기 위해 고려되는 소득 한도는 대출의 성격에 따라 달라집니다.
3단계의 임대료에 해당하는 3단계의 누진제 한도가 있습니다. 임대료가 높을수록 가구(家口)의 소득 한도는 높아집니다
통합 지원 임대 대출(la PALI)은 매우 불안정한 상황에 부닥친 사람들을 위해 예정된 것입니다.
사회적 임대 대출(PLUS)은 전통적인 서민 임대 주택(HLM)에 해당합니다: 사회 복지 주택의 80% 이상은 사회적 용도 임대 대출(PLUS) 한도(限度)에 의해 관리됩니다.
사회적 임대 대출(PLS)은 주로 부동산 시장이 가장 어려운 지역(최고 한도)에 있는 주택과 관련된 것입니다.
사회적 임대 대출(PLS)로 자금을 조달하는 사업은 PLUS 대출(사회적 임대 대출)로 자금을 조달하는 주택에 입주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소득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주택 공급보다 수요가 많은 지역으로 주택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 가구를 수용하기 위한 것입니다.
사회 복지 임대 대출(PLS)의 소득 한도는 사회적 용도의 임대 대출(PLUS)의 소득 한도와 같이 30% 인상되었습니다.
도표:
2025년 사회임대 대출(PLS)로 자금 조달된 주택에 적용되는 연간 소득 한도
가구 카테고리 | 파리와 인접한 지방자치 도시들 | 일드프랑스( 파리와 파리와 인접한 지방 자치도시) | 기타 대도시 지역 | 해외 영토 |
1. | 34 693 € | 34 693 € | 30 161 € | 27 145 € |
2. | 51 851 € | 51 851 € | 40 279 € | 36 252 € |
3. | 67 969 € | 62 327 € | 48 437 € | 43 593 € |
4. | 81 151 € | 74 658 € | 58 477 € | 52 629 € |
5. | 96 552 € | 88 379 € | 68 790 € | 61 911 € |
6. | 108 648 € | 99 455 € | 77 527 € | 69 774 € |
추가 인원 1인당 | + 12 107 € | + 11 081 € | + 8 648 € | + 7 783 € |
기타 한도 수준을 알아보려면, 국립 주택 정보청(ANIL) 페이지를 열람 바랍니다.
법령 및 참조 문헌
Textes de loi et références
저렴한 임대 주택에 관한 법률 수혜자의 소득 한도와 임대 부문의 새로운 국가 지원에 관한 1987년 7월 29일의 명령을 수정하는 2024년 12월 23일 자 법령
Arrêté du 23 décembre 2024 modifiant l'arrêté du 29 juillet 1987 relatif aux plafonds de ressources des bénéficiaires de la législation sur les habitations à loyer modéré et des nouvelles aides de l'Etat en secteur locatif
그리고 또,
서민 주택 신청하다.
Faire une demande de logement social (HLM)
Service-Public.fr
어떤 조건으로 서민 주택 배정받을 수 있습니까?
Quelles sont les conditions pour obtenir un logement social ?
Service-Public.fr
서민 주택 신청- 어떻게 운영됩니까?
(사회 복지 주거 당사자) 주택 대책기관(住宅對策機關)
Demande de logement social - Comment ça marche ?
Action logement
사회 복지 서민 주택
(사회 복지 주거 당사자) 주택 대책기관(住宅對策機關)
Logement social
Action logement
바로 가기:
https://www.service-public.fr/particuliers/actualites/A16296?xtor=EPR-100
번역자 주석:
Action logement : (사회 복지 주거 당사자) 주택 대책기관(住宅對策機關)(Action logement)
ANIL: l'Agence nationale pour l'information sur le logement (ANIL). 극립 주택 정보청
Le PLAI (prêt locatif aidé d’intégration) 동화 지원 임대 대출
Le PLUS (prêt locatif à usage social) 사회 복지 용도의 임대 대출
habitations à loyer modéré → habitation
(영세민용) 임대 아파트 ([약] HLM)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habiter un(e) H.L.M. → H.L.M.
서민임대아파트에 살다
불문학회 불한사전
공영주택 公營住宅
명사 logement géré par une collectivité locale [par une municipalité, par un département]; (프랑스) H.L.M. (Habitation à Loyer Modéré).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새한불사전
obtenir [ɔptəniːʀ] 1.타동사 획득하다, 얻다 (=acquérir, arracher)2.타동사 [obtenir (de qn) de+] (에게서 하는) 허가[약속]를 얻어내다,(하려는) 목적을 이루다3.대명동사 얻어지다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obtenir [ɔptəniːʀ] 1.타동사 얻다, 입수하다, 획득하다 2.타동사 (하는) 허가를 받다 , (하려는) 목적을 달성하다 3.대명동사 s'obtenir 얻어지다, 입수되다 불문학회 불한사전
logement [lɔʒmɑ̃] 1. 남성형 명사 거주, 주거,거처, 숙소, 주택, 집, 방 2. 남성형 명사 [군사] (징발된) 민가 숙소 3.남성형 명사 (기계 부품이 들어있는) 구멍, 홈, 실(室)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logement [lɔʒmɑ̃] 1.명사 거주 ; 주택, 집(domicile, résidence) ; 거처방 ; 숙소 ; 셋방 ; 선실 2.명사 숙박, (특히) 민가 숙박 ; 숙박료 ; 숙사, 막사 3.명사 (기계부품의) 오목한 부분, 홈, 홈통
불문학회 불한사전
social [sɔsjal] 1.형용사 사회의, 사회적인,노사(관계)의2.형용사 사회복지의, 사회보장의3.남성형 명사 사회문제,사회보장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obtenir un logement protégé
보호 시설을 얻다
K-Dictionaries 프랑스어-한국어 코퍼스 예문
Puis-je obtenir un prêt au logement?
주택 융자를 받을 수 있을까요? (공공기관>은행>대출)
글로벌회화
éligibilité [eliʒibilite]
여성형 명사 피선거 자격(권)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obtenir[ɔptəniːʀ]
1.획득하다, 얻다 (=acquérir, arracher)2.[obtenir (de qn) de+] (에게서 하는) 허가[약속]를 얻어내다,(하려는) 목적을 이루다3.얻어지다
social[sɔsjal]
1.사회의, 사회적인,노사(관계)의2.사회복지의, 사회보장의3.사회문제,사회보장
logement[lɔʒmɑ̃]
1.거주, 주거,거처, 숙소, 주택, 집, 방2.[군사] (징발된) 민가 숙소3.(기계 부품이 들어있는) 구멍, 홈, 실(室)
devoir[dəvwaːʀ]
1.해야 한다, 하지 않으면 안 된다2.[ne pas devoir+] (금지) 하지 말아야 한다, 해서는 안 된다3.헌신[이바지]할 의무가 있다4.할 의무가 있다
avoir[avwaːʀ]
1.가지다, 소유하다,지니다 (=posséder)2.(상품을) 보유하다,취급하다3.(자격·지위·권한 따위를) 가지다,누리다
demande[dəmɑ̃ːd]
1.요구, 신청, 청원2.요구서, 신청서3.청혼, 구혼 (=demande en mariage)
pour[pu(ː)ʀ]
1.(목적) 을 위한[위하여]2.(용도) 을 위한, 에 쓰이는3.(결과·인과 관계)4.찬성 (↔contre)5.[은어] 농담,거짓말 (=plaisanterie, mensonge)6.찬성하여
total[tɔtal]
1.전체의, 전부의, 전적인, 완전한, 총 (=global, complet, entier, parfait, général)2.전체,총계, 총액 (=montant, somme)3.[구어] [의학] 자궁 절제술
devoir[dəvwaːʀ]
1.의무, 의무감,책임2.(복수) 존경, 경의3.숙제, 과제
vous[vu]
1.(주어) 당신(들)은[이], 너희들은[이]2.(직접목적보어) 당신(들)을, 너희들을3.당신(들)(이라는 말), (=vouvoiement,), (↔tutoiement)
plafond[plafɔ̃]
1.천장2.[비유] 상한(上限), 최대한3.(비행기의) 상승 한도
ressource[ʀəsuʀs]
1.(곤란을 타개하는) 수단, 방편, 방책,의지할 수 있는 사람2.(복수) 돈, 재력3.(복수) 자원
faire[fεːʀ]
1.(예술가·작가의) 기법, 수법2.하기, 행위
janvier[ʒɑ̃vje]
1.1월, 정월
applicable[aplikabl]
1.붙일[칠할] 수 있는2.적용[응용, 시행, 사용]될 수 있는3.적당[적절]한, 알맞은
le[lə]
1.(직접목적보어) 그[그녀, 그것]를,그들[그녀들, 그것들]을2.(속사)3.(중성대명사·부정법·절 따위를 대신하는 직접목적보어)4.(비교표현의 후속절에서)
nouveau(nouvel)[nuvo,nuvεl]
1.새로운, 최신의, 최근에 생긴 (=neuf,), (↔vieux)2.(농작물 따위가) 금년에 수확된3.신참(자), 신입생, 신입 회원[사원]4.새로운 것, 변화된 것
depuis[dəpɥi]
1.(시간) 이래로, 이래2.(기간·지속) 전부터, 동안3.(연독하지 않음) 그 이래로, 그 후로
avoir[avwaːʀ]
1.재산, 자산2.[상업] 대변(貸邊)
받다[받따]
1.recevoir, percevoir, obtenir, recueillir, prendre, toucher, empocher, toucher, encaisser (↔주다)2.recueillir, collecter3.se faire
하다[하다]
1.faire, exécuter, effectuer, s'occuper de2.acheter, offrir, se procurer, préparer, se munir de3.prendre, faire une mine, avoir
자원[自願]
1.volontariat .
거주자[居住者][거주자]
1.résident
받다[받따]
1.buter contre, se cogner contre, heurter2.braver quelqu'un, affronter quelqu'un, tenir tête à quelqu'un
신청하다[申請하다][신청하다]
1.demander, s'inscrire, être candidat2.(Homme) Demander un rendez-vous amoureux à une femme.3.s'inscrire
하다
1.Verbe auxiliaire pour indiquer que l'on fait faire l'action de la proposition précédente ou que l'on provoque l'état indiqué dans la proposition précédente.2.Verbe auxiliaire pour indiquer que l'on veut faire faire l'action de la proposition précédente ou provoquer l'état indiqué dans la proposition précédente.3.Verbe auxiliaire pour indiquer la nécessité d'une action ou le désir que cette action se réalise.
총수입[總收入][총ː수입]
1.bénéfice total (↔총지출)
새롭다[새롭따]
1.neuf, nouveau, inconnu2.frais, neuf, original
자원[資源][자원]
1.ressources (naturelles)2.ressources (humaines)
한도[限度][한ː도]
1.limite, plafond
적용되다[適用되다][저굥되다]
1.être appliqué, être mis en application
적용(이) 되다[適用-]
1.s'appliquer à qc, être applicable à qc.
intégration[ɛ̃tegʀɑsjɔ̃]듣기intégration 1.여성형 명사통합,동화 (=incorporation,), (↔ségrégation)
2.여성형 명사[수학] 적분, 적분법
3.여성형 명사[철학·심리] 통합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intégration[ɛ̃tegʀɑsjɔ̃]듣기intégration 1.명사수학적분, 적분법
2.명사통합(incorporation) ; 동화(assimilation), 합방
3.명사경제(관련산업의) 기간산업에의 통합, 연관된 기업들의 통합
불문학회 불한사전
프랑스에서 세입자나 집주인이 주택 찾기 어려운 지역을 긴장 지역이라 부릅니다. 주택 수 보다 집 구하려는 수요가 많은 지역으로 임대 또는 매물로 내놓으면 즉시 거래되는지역입니다. 2024.7.18 Qu'est-ce qu'une zone tendue ? En France, on appelle zone tendue unpérimètre territorial au sein duquel les locataires ou les aspirants propriétaires ont du mal à trouver un logement. La demande y étant plus forte que l'offre, un bien mis en location ou à la vente trouve immédiatement preneur.2024. 7. 18. |
ménage[menaːʒ]
1.집안 손질,(특히) 집안 청소2.부부(생활),세대3.[경제] (프랑스 국민경제 계산으로의) 세대
catégorie[kategɔʀi]
1.[철학] 범주, 카테고리2.부류, 종류,분야, 부문 (=espèce, genre)3.(품질의) 등급
pari[paʀi]
1.내기 (=enjeu)2.도박, 노름3.(내기·도박의) 판돈, 배당금,상금
ménager[menaʒe]
1.마련[주선]하다,준비하다2.설치하다, (장소를)마련하다3.몸을 아끼다, 건강에 신경을 쓰다4.(자신을 위해) 을 준비하다
commune[kɔmyn]
1.시, 읍, 면 (프랑스의 최소 행정구)2.[역사] 파리코뮌(Commune de Paris), 파리 혁명자치정부3.la Chambre des Communes,les Communes (영국의) 하원
île[il]
1.섬2.les Îîles 서인도 제도/bois des îîles (서인도 제도산(産)의) 고급 목재3.l'Îîle(-)de(-)France 일드프랑스 (프랑스의 파리 인근 지방을 가리키는 이름)
hors[ɔʀ]
1.(장소)2.(시간)3.[옛] 밖에(서), 밖으로 (=dehors)
limitrophe[limitʀɔf]
1.국경의, 변경의2.이웃[인접]하고 있는
laFrance[lafʀɑ̃ːs]
1.프랑스 (정식 명칭은 République française)
가구[家口][가구]
명사
1.ménage
가구[家具][가구]
명사
1.meuble, mobilier, ameublement
출처: 국립국어원 한국어-프랑스어 학습사전(KOFR)
사전네이버 사전에서 더
Catégorie de ménage 가구 분류
Paris et communes limitrophes 파리와 파리 인접 도시
Île-de-France (hors Paris et communes limitrophes)( 일드 프랑스( 파리와 파리 인접 도시 제외)
Autres régions métropolitaines( 기타 대도시 지역)
Outre-mer 해외 영토
번 역: 서 봉paniervert777@naver.com
주의-알림: 이 글의 저작권은 프랑스 국무 총리실 법무 행정 정보국에 있습니다. 저작권자의 사전 서면 동의를 받지 않은, 무단 복제, 전제를 금지합니다. 보다 자세한 것은 www.serviec-public.fr 참조 바랍니다. Attention Rappel- : Le droit d'auteur de cet article appartient à la Direction de l'information légale et administrative (Premier ministre) au bureau du premier ministre en France. La reproduction non autorisée, l'insertion en entier ou en partie sans autorisation écrite préalable du détenteur des droits d'auteur sont formellement interdits.Pour plus d'informations, adressez-vous sur www.service-pubic.fr Merci |
'프랑스 알기( 부동산,주택,주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영업자 포함하여) 개인 사업가의 주 거주지도 압류될 수 있습니까? (2) | 2025.02.05 |
---|---|
임대(賃貸): 임차인(賃借人) 보호: 소득 계산을 위할 고려 기간은 얼마입니까? (0) | 2025.01.29 |
에너지 보조금: 2024년 ㅇ[너지 수표창구: 2024년 12월31일까지 에너지 수표 신청 할 수 있습니다. (1) | 2024.12.01 |
난방(煖房), 보일러, 난로, 온수기: 일산화탄소 중독을 조심하세요! (2) | 2024.11.28 |
임대(賃貸): 임대료 기준 지수(IRL): 2024년 3분기 인상률은 얼마입니까? (3) | 202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