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직(失職)의: 적합(適合)한 구직(求職))=일자리) 제안은 무엇입니까?
Chômage
Offre raisonnable d'emploi : qu'est-ce que c'est ?
2025년 04월 24일 게재- 법률 및 행정 정보국(총리)
적정한 일자리(고용) 제안(ORE)은 구직자가 등록할 때 프랑스 노동(역주: 이전 구직센터)에서 결정됩니다. 이는 지원자가 기꺼이 수락할 직무의 특성을 명시합니다. 2025년 3월 20일의 법령은 특히 지역 및 예상 급여와 관련하여 현지 고용시장과 일치해야 하는 새로운 요소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적합한 일자리 제안이란 어떤 것입니까?
프랑스 노동(역주: 이전 구직센터)에 등록된 모든 실업자는 전문 상담원과 함께 개인 맞춤형 재취업 계획안(PPAE)을 작성해야 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각 개인이 추구하는 고용 기준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개별 재취업 계확안(PPAE)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이는 적정한 고용 제안(ORE)이라고 불리게 됩니다.
합리적 고용 제안(ORE)은 사람들에게 더 나은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특정 구직자의 경우 다음 사항을 고려합니다:
자격, 교육 훈련 및 기술자격 수준;
지리적 위치;
그리고 그의 구직 활동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실행되는 급여 수준입니다.
참고 바랍니다.
귀하는 다음과 같은 적정한 일자리 제안을 받아들여야 하지만, 반드시 수락할 의무는 없습니다:
귀하의 지역 및 해당 직업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급여 수준보다 낮은 급여 수준(급여는 특히 최저 임금을 포함한 법적 및 협정 규정보다 낮을 수 없습니다.);
고용 재취업 프로젝트(PPAE)에 정규직 취업에 관한 내용이 언급된 데도, 시간제 일자리를 구하는 경우;
귀하의 전문적 자격 및 기술과 호환되지 않는 직업;
적정한 일자리(고용) 제안(ORE): 2025년 3월 20일 법령의 새로운 것은 무엇입니까?
2025년 3월 20일의 법령에는 새로운 요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합리적인 일자리 제공의 틀 내에서 정의된 지리적 영역이 국가 영토 내에 위치함을 나타냅니다. 또한, 이 맥락에서 기대되는 급여는 해당 분야에서 구직자가 구하는 직업에 대해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급여에 따라 정의되어야 하며, 필요한 경우 구직자의 경험도 고려되어야 함을 명시합니다.
또한, 이 법안에서는 이제부터는 프랑스에서 일반적으로 청구되는 급여를 기준으로 채용 제안의 적정성을 판단해야 하며, 더 해외에서 청구되는 급여 수준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다른 요소들은 변함없이 없습니다, 특히 구직자들은 자연스럽게 자신이 선택한 나라에서 일자리를 찾을 수 있는 자유가 있다는 사실이 그대로 유지됩니다.
알아둡시다:
현행 유럽 규정에 따르면,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국경을 넘는 구직자는 다른 나라에서 일하고 보험료를 냈더라도 거주 국가에서 보상을 받는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법령에는 국경을 넘는 취업 구직자의 보상 기간에 대한 감소 또는 실업보험 금액의 감소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법령 및 참고문헌
Textes de loi et références
적정한 고용 제안 구성 요소에 관한 2025년 03월 20일 자 법령 제2025-252호
Décret n° 2025-252 du 20 mars 2025 relatif aux éléments constitutifs de l'offre raisonnable d'emploi
그리고 또,
실업 :프랑스 노동에 등록된 구직자 약정 계약
Chômage : contrat d’engagement du demandeur d’emploi inscrit à France Travail
Service-Public.fr
실직(失職): 새로운 규정이 시행 중입니다.
Chômage : de nouvelles règles sont mises en place
Service-Public.fr
합리적인 취업 제안의 구성 요소에 관한 법령의 공표
노동부
Publication du décret relatif aux éléments constitutifs de l'offre raisonnable d'emploi
Ministère chargé du travail
구직자 명단에 등록하면 권리를 누릴 수 있으며 의무 약정 준수해야 합니다.
프랑스 노동
Etre inscrit sur la liste des demandeurs d'emploi vous permet de bénéficier de droits et vous engage à respecter des obligations
France Travail
번역자 주석:
France Travail 프랑스 노동 ex-pôle emploi 이전 구직센터
transfrontalier [tʀɑ̃sfʀɔ̃talje]
형용사 국경 양편의, 국경을 가로지르는, (일하러 가기 위해) 국경을 넘는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S.M.I.C.
[약] Salaire minimum interprofessionnel de croissance 슬라이드제 전직종 최저 임금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S.M.I.C. 〖약자〗 salaire minimum interprofessionnel de croissance [smik]
명사 슬라이드제 전 직종 최저임금((1970년부터 S.M.I.G.를 대신))
불문학회 불한사전
accès [aksε] 1.남성형 명사 (장소로의) 접근, 들어가기,출입로[구], 통로
2.남성형 명사 (사람에의) 접근
3.남성형 명사 (정보·지식에의) 접근, 이해,(지위·권리 등의) 획득, 가입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초래(를) 하다 招來-
causer, entraîner, donner lieu; amener, provoquer qc.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새한불사전
온당하다 穩當하다 [온ː당하다]
형용사 convenable, juste, raisonable
국립국어원 한국어-프랑스어 학습사전(KOFR)
pour un demandeur d'emploi donné 특정 구직자 경우
le marché de l'emploi local.현지 고용시장
L'offre raisonnable d'emploi (ORE) 합리적인 고용 오퍼, 합리적인 일자리 오퍼
offrir[ɔfʀiːʀ]
1.주다, 제공하다2.제의[제안]하다3.제공되다,서로 제공하다4.몸을 바치다[내맡기다]
chômage[ʃomaːʒ]
1.[옛] (일요일·축제일의) 휴업, 휴무2.조업 정지, 휴업3.실업, 실직
raisonnable[ʀεzɔnabl]
1.이성을 지닌,합리적인2.도리[이치]에 맞는,분별 있는, 지각있는,마땅한3.[구어] 상당한,평균 이상의
que[k(ə)]
1.(주어,문두에 올 때 동사는 원칙적으로 접속법)2.(직접목적보어)3.(간접목적보어)
que[k(ə)]
1.(직접목적보어) 무엇을,어떤 것을 (=lequel)2.(속사)3.(논리적 주어)
publier[pyblije]
1.출판[발행]하다2.발표하다, 게재하다3.출판되다,발표되다
avril[avʀil]
1.4월2.[시] 봄,청춘
des[de]
1.(셀 수 있는 명사의 불특정 수) 몇몇의, 몇 개의 (→de III, un)2.여러 개의, 많은,대단한3.(이중적 사용) il y a des années et des années 여러 해 전에
préciser[pʀesize]
1.명확[분명, 정확]하게 (말)하다2.명확[분명]해지다
caractéristique[kaʀakteʀistik]
1.특징을 나타내는, 독특한 (=particulier)2.[물리] 특성의3.특성, 특색, 특징 (=caractère, particularité)4.[언어] 지표자(字)
emploi[ɑ̃plwa]
1.사용 (=usage, utilisation)2.사용법,용도3.일자리, 직장, 직무,[옛] 일 (=poste, place, occupation)
elle[εl]
1.(이미 언급되었거나 언급될 여성 명사를 대신하는 경우)2.(지칭 관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성·수 등 대신하는 대상이 달라질 수 있음)3.(특정한 발화 상황에서 대화 상대자 간의 묵계하에서 지칭 관계가 나타나지 않거나 막연한 경우)
celui[səlɥi]
1.[celui de+보어/celui+관계대명사]2.[celui+분사/형용사]3.(명사적 용법:불특정한 사람 지시)
실업[失業][시럽]
1.chômage (→취업, 취직)2.chômage
되다[되다]
1.devenir2.devenir, se transformer en3.atteindre, il est temps de, il est l'heure de
그것[그걷]
1.ce, ceci, cela, ça, celui-ci, celui-là, celle-ci, celle-là, il, elle, le, la, y, en (→그거, 이것, 저것)2.il, elle (→그거, 이것)3.ce, ceci, cela, ça, celui, celle, celui-là, celle-là (→이것, 저것)
제안[提案][제안]
1.proposition, suggestion, offre
구직[求職][구직]
1.demande d'emploi, recherche d'emploi
있다[읻따]
1.être2.être, travailler3.être (en train), rester
게시[揭示][게ː시]
1.affichage, notification, avis
그것도
1.ça aussi
그녀[그女][그녀]
1.elle, la, lui (→그)
받아들이다[바다드리다]
1.collecter, percevoir, recueillir2.accepter, introduire, accueillir3.accueillir, admettre
준비[準備][준ː비]
1.préparation, préparatifs
실업[實業][시럽]
1.industrie, affaires, commerce
있다[읻따]
1.(↔없다)
직업[職業][지겁]
1.profession, métier, carrière, emploi
되다[되ː다]
1.épais, dur, ferme (↔묽다, 질다)2.raide, tendu3.difficile, dur, pénible
특성[特性][특썽]
1.particularité, singularité, caractéristique, originalité, spécificité
그[그]
1.(→이, 저)2.ce, cette, ces (→이)3.Terme utilisé pour désigner quelque chose dont on n'est pas sûr ou dont on ne veut pas trop donner les détails.
texte[tεkst]
1.(주석·각주에 대한) 본문, 텍스트,(번역에 대한) 원문,(법률 따위의) 본문 (=original)2.원고,타이프 원고 (=manuscrit, tapuscrit)3.대사, 대본,가사
loi[lwa]
1.법, 법률2.법칙3.(복수) 규범, 규칙, 규정,기준
être[εtʀ]
1.(사람이) 있다, 존재하다,이다2.(사물이) 있다, 존재하다3.(속사는 형용사·수사)
référence[ʀefeʀɑ̃ːs]
1.준거(準據), 기준2.조회, 참조, 참고,주(註)3.(문서·서류의 좌측 상단에 표시된) 조회번호, 조회기호
mars[maʀs]
1.3월2.[곤충] 흰 점 무늬의 갈색 나비
relatif[ʀəlatif]
1.상대적인 (↔absolu)2.적절한, 웬만한 (=partiel)3.상대적인 것4.[언어] 관계사5.[언어] 관계절 (=proposition relative)
décret[dekʀε]
1.(주권자·행정 책임자의) 명령, 법령2.[종교] 교회(법)령, 결의서,교회법령집(集)3.[문어] (초월자의) 의지,절대적 명령,(힘·추세에 의해) 강요된 것
élément[elemɑ̃]
1.(구성체·집합체를 형성하는) 요소, 성분, 재료, 부품2.(판단에 필요한) 정보, 자료3.요인, 조건
Mars[maʀs]
1.[로마신화] 마르스(군신(軍神), 농경과 봄의 신)2.[천문] 화성
chômage[ʃomaːʒ]
1.[옛] (일요일·축제일의) 휴업, 휴무2.조업 정지, 휴업3.실업, 실직
règle[ʀεgl]
1.규정, 규칙, 룰2.규범, 규율3.통례, 관례
place[plas]
1.곳, 장소,위치, 자리2.좌석,좌석권, 좌석료3.공간, 여지
nouveau(nouvel)[nuvo,nuvεl]
1.새로운, 최신의, 최근에 생긴 (=neuf,), (↔vieux)2.(농작물 따위가) 금년에 수확된3.신참(자), 신입생, 신입 회원[사원]4.새로운 것, 변화된 것
loi[lwa]
1.(화폐의) 금위(金位)
service[sεʀvis]
1.(국가·사회에 대한) 의무2.병역 의무,군복무, 군대 생활 (=service militaire)3.근무, 업무,공익사업, 공공업무 (=fonction)
régler[ʀegle]
1.(분쟁 따위를) 해결하다, 결판짓다2.(요금 따위를) 치르다,(채권자 따위에게) 결산[지불] 하다3.(문제 따위가) 해결되다, 결판나다4.조정[조절]되다
miser[mize]
1.(노름에서 돈을) 걸다2.[속어] (성적으로)(을) 갖다3.[miser sur qn/qc] 에 돈을 걸다4.[구어] [miser sur qc] 에 기대를 걸다, 기대하다
public[pyblik]
1.공공의, 공중의 (↔privé)2.공무[관공]의, 공적인,(특히) 국무(國務)의, 국가행정의3.공중, 일반인들,국민4.(집합적) 독자, 관객, 청중
être[εtʀ]
1.생물, 존재[실재]물2.[un être de+무관사명사] [문어] 을 구현하는 존재, 의 특징을 갖고 있는 존재3.사람, 인간
문서[文書][문서]
1.document
법률[범뉼]
1.loi, législation, droit
실업[失業][시럽]
1.chômage (→취업, 취직)2.chômage
제공[提供][제공]
1.offre, mise à disposition, fourniture
고용[雇用][고용]
1.emploi, embauche
구성[構成][구성]
1.composition, organisation, constitution, construction, structure2.composition, affabulation
요소[要素][요소]
1.élément constitutif, facteur2.élément
법률[法律]
1.loi , droit , code , législation .
및[믿]
1.et, aussi
새까맣다[새까마타]
1.très noir (↔새하얗다)2.(Distance, temps, etc.) Très éloigné.3.N'ayant aucune mémoire ou aucune connaissance.
새롭다[새롭따]
1.neuf, nouveau, inconnu2.frais, neuf, original
실업[實業][시럽]
1.industrie, affaires, commerce
규칙[規則][규칙]
1.règle, règlement2.règle, loi
시행되다[施行되다][시ː행되다]
1.être exécuté, être accompli, être réalisé2.être exécuté, être appliqué, être mis en vigueur
새까맣게 되다
1.devenir très noir
시행(이) 되다[施行-]
1.entrer en vigueur, être appliqué(e).
네이버 사전에서 더 보기사전
번 역: 서 봉paniervert777@naver.com
주의-알림: 이 글의 저작권은 프랑스 국무 총리실 법무 행정 정보국에 있습니다. 저작권자의 사전 서면 동의를 받지 않은, 무단 복제, 전제를 금지합니다. 보다 자세한 것은 www.serviec-public.fr 참조 바랍니다. Attention Rappel- : Le droit d'auteur de cet article appartient à la Direction de l'information légale et administrative (Premier ministre) au bureau du premier ministre en France. La reproduction non autorisée, l'insertion en entier ou en partie sans autorisation écrite préalable du détenteur des droits d'auteur sont formellement interdits.Pour plus d'informations, adressez-vous sur www.service-pubic.fr Merci |
'프랑스 알기(창업·취업·직장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네트워크: 4월의 최신 뉴스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회사 창업하거나, 다시 취업길 모색하고 싶으십니까? (3) | 2025.05.16 |
---|---|
(권한이 없는 사람으로 부터) 변칙적으로 해고 통보받은 임산부(姙産婦)는 보상을 더 잘 받을 수 있습니까? (2) | 2025.05.07 |
사회보장 기여금과 분담금: 고용주 기여금: 어떻게 변경되었습니까? (5) | 2025.04.19 |
2019-2021 실업 보험 개혁: 제한된 결과 (7) | 2025.04.02 |
소비: 식당에서 고기 원산지 알릴(告知) 의무(역주: 2025년 2월19일 부터 전면 시행되고 있습니다.) (4) | 2025.03.16 |